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요일
수요일

사람의 입에는 수백종의 박테리아 존재한다고

사람에입에는 수백종의 박테리아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런박테리아가 입속에있는데 사람이 병 에

걸리지 않는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점막이 체내로들어오지못하게 막습니다.

    가끔 입속에 상처가나고 면역력이 약해지면 염증이일어나 아프기도하는데, 박테리아의 영향입니다.

    또한 침을계속삼켜 씻어주고 위로보내어 소화액에 죽도록 만듭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입속에는 점막질이있어 박테리아들이 체내로 진입되기어렵고, 타액에 어느정도 살균성분이 들어있으면서도 계속해서 침을상켜 위로넘어가게 씻어주기때문에 구강내 박테리아의 숫자가 많아지는것을 방지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대부분의 구강 박테리아는 비병원성입니다. 또한, 입안에도 면역 시스템이 작동중이며 미생물이라고 해서 다 나쁜 건 아닙니다. 구강 미생물군집에도 균형이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입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지만, 이들은 단순히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나름의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일부 박테리아는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다른 박테리아는 비타민을 생성하거나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등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균형이 잘 유지될 때, 유해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지 못하고 질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또한 사람의 침은 다양한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박테리아를 죽이고, 산성 환경을 만들어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게 됩니다. 그리고 입안의 점막은 물리적인 장벽 역할을 하여 박테리아가 깊숙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면역 세포들은 끊임없이 순환하며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켜 박테리아를 제거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입안 박테리아는 우리 몸과 공존하며 때로는 유익한 역할을 하기도 하며 나름의 생태계를 만들어 유지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사람의 입속에는 수백 종류의 박테리아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유익한 균들이며,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과 입속 환경이 이들 박테리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유익한 박테리아는 해로운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고, 침 속에 포함된 항균 물질이 박테리아의 활동을 제어하며, 건강한 구강 내 환경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입속의 pH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병원균의 증식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병에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다만, 구강 위생이 좋지 않거나 면역력이 약해지면 유해한 박테리아가 증식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강 내에는 1000종 이상이 균이 분포해 있고 침 1ml에는 세균 5~10억 마리가 존재한다고 보고될 정도로 거대한 미생물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사람의 입속에는 수백 종의 박테리아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병에 걸리지 않는 이유는 입속의 미생물 생태계와 면역 체계가 조화롭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입속에는 공생 박테리아와 잠재적 병원균이 함께 살고 있는데요, 공생 박테리아는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입속의 미생물 균형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박테리아는 산성 환경을 조절하거나 병원성 박테리아가 자리 잡는 것을 방해합니다. 이 균형이 깨지지 않는 한 대부분의 미생물은 해롭지 않습니다. 또한 타액(침)은 입속에서 강력한 방어 역할을 합니다. 타액에는 리소자임이라는 효소가 있어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하며, 인체의 면역 체계는 입속의 병원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지 못하도록 조절합니다. 만약 병원균이 증가하거나 입안에 상처가 생기면, 면역 세포가 활성화되어 이를 빠르게 억제합니다. 하지만 박테리아의 균형이 깨지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특정 박테리아(예: Streptococcus mutans)가 산을 생성하여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입속 박테리아는 자연스러운 생태계의 일부이며, 대부분은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타액의 항균 작용, 면역 체계, 그리고 공생 박테리아가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우리는 병에 걸리지 않습니다. 다만, 구강 위생이 나빠지거나 면역력이 약화되면 병원균이 우세해져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강 내 박테리아는 대부분 인체에 무해하며, 침과 면역 체계가 박테리아의 수를 조절하고 해로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질병을 예방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입속의 미생물 군집은 서로 경쟁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유해한 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증식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또 인체의 면역 체계는 외부의 유해한 미생물에 대해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면역 세포가 박테리아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박테리아라고 무조건 병을 발생 시키는건 아니랍니다.

    유산균도 균인데 우리에게 유익한 균을 만드는 것처럼이죠

    또한 병균체도 일정 수준 이상ㅇ 있어야지만 병을 발생 시켜요

    입안도 그 두 종이 공존을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