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거래세는 어떤 경우에 부과 되나요?? 국내와 해외주식 거래에 차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증권 거래세는 어떤 경우에 부과 되나요?? 국내와 해외주식 거래에 차이가 있을까요??
요즘은 해외주식거래도 많이 하는데 차이가 궁금해요.
주식을 매수매도할때 다 발생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거래세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이나 지분의 소유권이 유상 이전될 때 당해 주권이나 지분의
양도자에게 양도가액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주식을 매수하였을 때에는 없지만 팔았을 때 거래세를 내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때만 발생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주식에만 있습니다.
코스피는 거래세 0.03%+농특세 0.15% = 0.18%
코스닥은 거래세만 0.18%
입니다.
매수, 매도할때 다 발생하는것은 증권사의 거래수수료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증권 거래세는 언제 부과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증권 거래세는 주식을 양도, 매매, 증여하게 되면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해외 주식에는 부과되지 않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 거래세는 주식이나 기타 증권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증권 거래세는 국내에서 상장된 주식을 매도할 때 발생합니다.
매수할 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해외 주식 거래시에는 증권 거래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해외 주식 매도 차익이 있을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주식의 증권거래세는 매도시 부과되며 코스피는 0.18%(증권거래세 0.03% + 농어촌특별세 0.15%), 코스닥은 0.18%입니다. 매매차익과 관계없이 부과됩니다.
미국의 증권거래세는 거의 없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있는데 매도 금액에 대해 0.00229% 임)
다만, 주식이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미국은 15%, 우리나라는 14%임, 따라서 해외배당에서 국내에서 추가 세금납부가 없음)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증권 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때 부과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국내 주식은 세율이 적용되고 대주주의 경우에는 추가 세금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는 거래세가 없지만 양도소득세가 있는것이 국내와 다른걸로 압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 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됩니다. 국내 주식의 경우, 매도 시 거래세가 0.23% 부과되며 매수할 때는 세금이 없습니다. 해외 주식의 경우에는 거래세 대신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수익이 발생했을 때 이익의 22%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따라서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은 세금 부과 방식에 차이가 있고 해외 주식은 매도할 때 양도소득이 있을 경우에만 세금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거래할때 매수도할때 정해진비율로 부과됩니다.주식이나ETF에 부과되고 해외식은 해당국가의 세율에 따라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