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김선생김교수
김선생김교수

식물성 대체육이나 실제 동물세포를 배양해 만든 배양육

최근에는 식물성 대체육이나 실제 동물세포를 배양해 만든 배양육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전통적인 고기 산업은 어떻게 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이 상용화되면, 전통적인 축산업은 환경부담, 동물복지논란을 줄이는 대안산업과 경쟁하고 공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를들어 패스트푸드나 가공식품시장에서 대체육의 비중이 커지고, 전통고기는 프리미엄, 지역특산품과같은 틈새시장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배양육의 발전으로 육류와 유사한 식감, 맛, 영양을 모사하거나 더 뛰어나게 될 수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현 축산업을 위협하기에는 굉장히 오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합니다.

  •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건데,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 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인 고기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겁니다

    먼저 우선, 대체 단백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통 축산업에는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환경과 동물 복지에 대한 소식을 접하고 자기도 모르게 소비에까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양육 생산은 대규모 축사 대신 첨단 기술 기반의 생산 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기 생산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결국 전통 축산업은 가격 경쟁력을 높이거나 방식의 전환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이러한 예상은 소비자의 선택과 각종 규제에 의한 것이긴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 많은 선택지가 생길 것은 분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대체육"과 "배양육"은 식품 산업뿐 아니라 축산업, 환경,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바꿀 수도 있는데요, 식물성 대체육은 콩, 완두, 밀 단백질 등을 가공해 실제 고기와 비슷한 식감·맛을 구현한 것으로 전통 축산업의 일부 수요 대체했으며, 건강 및 채식주의·비건 시장 확장, 환경적 부담(메탄가스, 토지 사용, 물 소비) 감소의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배양육은 소, 닭, 돼지 등의 근육줄기세포를 배양해 실제 고기 조직으로 키운 것인데요, 진짜 고기와 동일한 성분을 가지므로, 채식주의자보다는 “동물을 죽이지 않고 고기를 먹고 싶은 소비자”에게 매력적이며 전통 축산업이 차지하고 있던 프리미엄 고기 시장을 대체할 잠재력이 크지만 다만 아직은 생산비용, 대량 생산 기술, 소비자 인식이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대량생산 체계가 확립되면서 지구 환경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진짜 고기”는 와인·치즈처럼 전통적·문화적 가치 상품으로만 소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 기술의 발전은 전통적인 축산업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축산업은 환경 문제, 동물 복지, 그리고 전염병 발생에 대한 윤리적, 사회적 압력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축산업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축산업의 생산량과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특히 가공용 육류 시장을 중심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축산업계의 생산 방식 전환, 새로운 기술 도입, 그리고 소비자의 변화된 인식에 대한 대응을 요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