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섬유는 유산균과 관련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식이섬유란 신체의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는 난소화성 고분자 섬유성분을 말하잖아요~ 그런데 이런것은 유산균과 관련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선 식이섬유는 신체내에서 소화효소만으로눈 분해가되지 않는 성분입니다.그리고 유산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합니다.
소화되지않은 식이섬유는 대장까지 도달하게되는데, 대장에 존재하는 장내 유익균들의
주요 먹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유익균들이 내보내는 짧은 사슬 지방산과같은 유익한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에의해 장내환경이 산성화되면서 유해균의 성장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그래서 소화를 돕거나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하기도 합니다.
또한 섬유질자체가 구석구석 쓸어내리며 장을지나가기때문에 장내에 남아있는
유해 찌꺼기들도 함께 데리고 배변활동을 할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식이섬유는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는 성분인데, 장내 유산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식이섬유는 장내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주고, 유산균은 식이섬유를 발효시켜 단쇄지방산 같은 유익한 물질을 생성해요.
이런 과정이 장 건강에 도움을 주고, 면역력을 강화하며, 소화기능을 개선하는 데 기여해요.
네, 식이섬유는 유산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식이섬유는 유산균의 먹이입니다.
식이섬유는 장내 유익균, 특히 유산균의 먹이 역할을 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유산균은 식이섬유를 먹고 증식하면서 우리 몸에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됩니다. 특히 유산균이 증가하면 장내 환경이 개선되어 소화 기능이 향상되고, 면역력이 강화되는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얻을 수 있죠.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유산균은 식이섬유를 보다 잘 대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사람은 스스로 식이섬유를 잘 소화하지 못하지만 유산균은 이 식이섬유를 분해해 자신의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유산균이 장내에서 번식해 유해하거나, 유해성이 향후 초래될 수 있는 장내세균의 번식을 억압하고, 유산균이 보다 우세한 세균총이 되도록 도와주지요. 또, 이와 별도로 식이섬유는 그 자체로도 수분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해 장내용물이 수분기를 충분히 머금도록 도와, 향후 대변이 단단하지 않고 무르게 나오게 도와줘 배변 활동이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즉, 식이섬유는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 기능을 도움과 동시에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 유산균이 장에서 번식 및 분포하는 것을 보조하지요.
식이섬유는 유산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우리 몸의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지만, 장내에 있는 유익한 유산균이 이를 발효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은 활성화되고, 장 건강에 유익한 단쇄지방산 등을 생성해 장내 환경을 개선합니다. 식이섬유는 특히 유산균이 잘 자라도록 돕는 "프리바이오틱스" 역할을 하여 유익균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물론 유산균 중 식이섬유를 분해하여 영양소를 제공해지구기도하지만 식이섬유의 역할은 대부분 장내 찌꺼기들을 함께 쓸어가는 용도입니다.
장은 구불구불되어있고 주름진부분이많아 음식물이 그 부분에 끼고 장내미생물들이 과하게 대사활동을하면 더부룩함과 염증반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식이섬유는 인체내에서 소화시키지 못하기때문에 섬유질그대로 장내를 지나가게 되고, 질긴특성이있어서 물리적으로도 잘 끊어지지도 않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장내를 효과적으로 휩쓸고지나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이섬유는 우리 몸이 소화할 수 없는 식물성 식품 속 성분이며 변 배출에 도움을 줍니다. 유산균은 말 그대로 균이며 장의 기능에 도움을 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식이섬유는 유산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며, 유산균과 같은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됩니다. 이러한 미생물은 식이섬유를 발효하여 단쇄지방산과 같은 유익한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은 장 건강을 증진시키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