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공손한멧새162
공손한멧새16223.03.23

조선시대 왕이 본인 마음대로 못한 이유가 궁금해요.

티비나 영화를 보면 조선시대 왕들은 정사를 볼 때 본인 뜻대로 못하고 신하들의 의견을 대부분 수용한 것 같더라구요. 왕이라면 국가의 최고 권력자 아닌가요? 조선시대 임금이 자기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견제를 받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 국왕이 국가의 최고 권력자임에도 불구하고, 정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결정을 할 때는 신하들의 의견을 고려해야 했습니다. 이는 조선시대의 국가 체제인 노론 체제 때문입니다.

    노론 체제는 어떤 의미에서는 현대적인 민주주의적 체제와 유사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왕과 신하의 권력이 조화가 되는 것으로 설계되었고 그 장치가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였고 왕이 잘못된 정책을 펴려고 하면 그들이 끊임없이 상소하고 반대하였습니다. 독선과 독재를 견제하려던 기구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왕권이 강하였을 때는 왕에 의해 통제가 되었지만 정조 이후 왕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세도정치로 넘어가게 되고 민란의 시대로 접어 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들이 정사를 볼 때에는 본인 마음대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왕권의 제한: 조선시대의 왕권은 일반적으로 민주주의적인 원칙에 기반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왕에게도 신하들의 의견 수용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왕이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왕권을 행사할 때 신하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었습니다.

    2. 현실적인 제약: 조선시대의 왕들은 실제로 현실적인 제약들에 직면했습니다. 왕이 본인의 마음대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왕이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본인의 결정을 제한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3. 신하들의 전문성: 조선시대의 신하들은 대개 교육과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왕이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왕이 신하들의 전문성과 지식을 인정하고, 그들의 의견을 고려하려는 것이었습니다.

    4. 신하들의 충성심: 조선시대의 신하들은 대개 왕에게 충성심을 보였습니다. 왕이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것은, 왕이 그들의 충성심을 인정하고 보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조선시대 왕들은 정사를 볼 때에는 본인 마음대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하들의 의견을 수용하면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왕권의 제한, 현실적인 제약, 신하들의 전문성과 충성심 등을 고려한 전략적인 선택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