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티끌모아티끌
티끌모아티끌

우리나라 외환위기가 있을거라는데 정말 맞나요?

우리나라 외환위기가 있을거라는데 정말 맞나요?

그러면 진짜 IMF 시작되는건가요? 그리고 환율이 왜 올라가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렇지 않습니다

    • 물론 우리나라가 실제 미국에 3500억 달러 규모의 현금 투자를 강행한다면

      그 즉시 외환위기 시즌2가 되겠지만 그것을 알고 있는 국내에서 그렇게 할 이유가 없습니다.

    • 따라서 IMF가 시작된다는 것은 일종의 루머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외환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현재 미국이 요구하는 그대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내어주면 바로 외환위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997년과 같은 외환위기를 겪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외화 보유액이나 경상수지 흑자 등 당시와는 다른 경제적 방어 능력을 고려했을 때) 그럼에도 일부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전쟁 심화, 관세 부과, 국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국내 경제가 위험한 상황인 것은 맞습니다. 또한,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은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심화로 인한 안전 자산(달러) 선호 현상, 국내 무역수지 악화,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고 있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외환위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관세협상으로 3500억 달러를 대미 직접 투자시 위기가 온다는 이야기 입니다.

    좀 더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화가 부족해서 외환 상환을 제대로 못하는 상황을 외환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97년 IMF 당시는 외환 보유액이 200억 달러밖에 되지 못했으나 현재는 4000억 달러 이상의 외환보유고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시와는 전혀 다른 상황으로 외환위기 발생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환위기에 최근에 자주 나오는 이유는 최근 미국과 한국과의 정상간의 협상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3500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정확하게 어떻게 하겠다고 말하지는 않았는데 9월 들어서면부터 미국의 트럼프와 미국의 현재 정부에서 이 3500만 달러를 일본처럼 강제적으로 현금으로 당장 선금으로 내놓으라고 강하게 압박을 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현재 한국이 보유한 84%의 해당하는 외환보유고이며 한국이 연간 무역으로 벌어들이는 달러흑자규모가 연간 300만달러정도이며 그만큼 이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한국의 외환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규모인 만큼 이런 외환위기 이슈가 나오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외환위기가 있을수 있습니다. 외환위기의 경우 외환을 일정부분 보유하고 있어야 하지만 이러한 외환을 보유하지 못한상태에서 스왑등을 통해서 구하지 못할경우 장기적으로 외환위기가 올수 있는 상황아라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환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는것이 중요할것이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환위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IMF 사태'와 같은 심각한 외환위기가 즉시 재발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현재까지는 우세합니다. 현재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하여 외환보유액이 충분하고, 단기외채 비율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를 유지하고 있어 외환 유출입 측면에서 기초체력이 과거 위기 때보다 개선되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들도 1997년과 같은 위기 재발 가능성은 없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 지정학적 위험 등이 커질 때,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달러를 사들이면서 달러 가치를 더욱 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