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에 대한 이해 부족이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부족이 환자 치료에 미치는 위험성은 어떤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 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약물 상호작용을 잘 모르고 사용하면 예기치 못한 어지러움 혈압상승 위장장애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너무 심각한 약물은 DUR로 관리하고 약국에 물어보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약물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면 약효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 예로 복약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 기대하는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끼리 복용하면 환자가 부작용을 겪을 수도 있겠죠. 사례는 일반적으로 많이 나오는 스타틴계열 약물 복용자에서 마크로라이드항생제가 나오는 경우들도 있고 이 외에도 여럿이 있을 수 있습니다.
Dur시스템도 있지만 약사들에게 어떤약을 복용중인지 말씀해주시는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서로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의 우려가 높아지고 중복되는 약물 복용 시에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의사 및 약사의 지시 하에 약물을 복용하고 복약 지도가 잘 될 수 있도록 안내가 필요로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환영 약사입니다.
약물상호작용의 대표적인 예시 몇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스타틴 계열 고지혈증 약 +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등 항진균제
; 대사효소 변화로 혈중 고지혈증 약 농도가 증가하고 근육통, 횡문근융해증 등 부작용 발생
2.이소트레티노인 피지조절제 +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
; 두개 내압 상승
3.경구피임약 + 리팜핀 계열 결핵약
; 경구피임약 효과 감소로 임신 가능성 발생
4.NSAIDs계열 소염진통제 중복 복용
; 진통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위장출혈, 신장독성 등 부작용 발생 가능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위장출혈, 간수치상승, 신장손상 등
위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상호작용 약은 꼭 피해서 복용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은 병원과 약국의 DUR 제도를 통해서 중복되는 약이나 상호작용하는 약을
일부 걸러냅니다. 하지만 아직 완전한 시스템은 아니라서 환자나 보호자가
복용하는 약을 새로운 병원, 약국 방문하실 때 꼭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노인분들은 처방전 또는 약봉투 항상 소지하시고, 복약지도문 꼼꼼히 읽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