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초안산고양이
초안산고양이23.06.16

무역할때 쓰는 컨테이너의 크기는 얼마인가요?

드라마 보면 배로 물품을 날르잖아요. 그때 쓰는 컨테이너의 크기와 그안에 들어갈수 있는 양은 어느정도 인가요? 그리고 티비에서 보면 컨테이너 크기가 다 같던데. 이건 전세계적으로 규격이 있어 다 같은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해상운송에서 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ISO 표준 규격을 사용하도록 권고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컨테이너 규격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말씀하신 드라마에서 주로 나오는 컨테이너는 드라이 컨테이너 (Dry Container)로써 일반화물, 즉 잡화, 온도조절이 필요 없는 화물 등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말합니다.

    그 외의 컨테이너 종류로는 냉동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냉동기가 부착된, 냉동 컨테이너 (Reefer Container), 장척물이나 기계류 등을 적재 및 운송하기에 편리하도록 천장이 개방되어 있는 천장 개방형 컨테이너 (Open Top Container), 장척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보통 컨테이너 바닥과 4개의 기둥만이 있는 플랫 랙 컨테이너 (Flat Rack Container), 액체상태의 유류, 주류 등을 운송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탱크 컨테이너 (Tank Container)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종류는 20feet, 40feet, 40feet High Cube 등 다양하게 있으며 여기서 feet는 길이 단위로 약 6m 정도 됩니다. 해당 컨테이너마다 들어갈 수 있는 양은 무엇을 적재하느냐에 따라 상이하며, 무엇을 적재하느냐에 따라 어떠한 컨테이너가 사용되는지도 상이하기 때문에 궁금하신 물품이 있는 경우 지정해주시면 추가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컨테이너는 다양한 사이즈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출입 물류 업무에서는 20피트(20'FT), 40피트(40'FT), 40피트 하이(40'FT HIGHCUBIC) 가 많이 사용됩니다. 40피트의 경우 40~60CBM 정도 화물을 넣을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타입

    특수 컨테이너는 화물의 종류/용도에 따라
    냉동/냉장(REEFER) 컨테이너, 오픈탑(OPEN-TOP) 컨테이너,
    FR(FLAT RACK) 컨테이너 등이 사용됩니다.

    냉동/냉장(REEFER) 컨테이너의 경우
    과일류, 의약용품 등 온도에 민감한 제품의 운송에 적합하게 제작이 되어 있습니다.

    OPEN-TOP 컨테이너의 경우
    화물의 높이가 높거나 밀어서 적재하기 어려운 화물에 적합하게 제작이 되어 있습니다.

    FR 컨테이너의 경우 일반 컨테이너에 들어갈 수 없는
    가로, 세로, 높이가 큰 제품을 적재하는데 용이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단단한 바닥 판에 위와 같이 양쪽에 지지대가 화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큰 설비 또는 규격화 되지 않은 제품들에 적합합니다.

    특수 컨테이너는 일반 컨테이너에 비해 운송비용이 높기 때문에
    진행 전 물류사와 충분한 협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 트레드링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출입 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20피트(20FT), 40피트(40FT), 40피트 하이큐빅(40FT HIGHCUBIC)을 많이 사용합니다. 20피트는 대략 21톤, 40피트는 27톤 정도의 중량을 적재 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는 ISO규정에 의해 전세계가 공통된 규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상운송회사는 ISO규격의 표준규격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ISO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서 제정한 국제 유통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박스의 치수, 중량, 모양, 표시방법, 시험방법, corner fitting 등의 추천 표준규격을 의미합니다.

    주로 철제로 만들어진 20FT 컨테이너나 40FT 컨테이너를 사용하며, 화물에 따라서 10FT 컨테이너, 45FT 컨테이너, 오픈탑 컨테이너, 냉동 컨테이너 등 특수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FT 내부용적은 33.1CBM 이지만 일반적으로 27~28CBM을 적재하고, 40FT 내부용적은 67.5CBM이지만 일반적으로 55CBM을 적재합니다. (*CBM: 가로, 세로,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

    얼마나 물품을 적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은 화물의 포장별로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포장의 사이즈를 참고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최대적재중량은 20FT 컨테이너 21,710kg, 40FT 컨테이너 26,590kg 정도 적재 가능하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국제무역에서는 일반적으로 20피트와 40피트 컨테이너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20피트 컨테이너의 크기는 길이 6m, 너비 2.3m, 높이 2.3m에 해당하며, 40피트 컨테이너의 크기는 길이 12m, 너비 2.3m, 높이 2.3m에 해당됩니다.


    40피트 컨테이너는 20피트 컨테이너 2개를 합친 크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선은 유조선, 컨테이너선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운송수단은 컨테이너선을 통한 컨테이너 운송이 될 것입니다.

    컨테이너선의 크기는 제각각일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 규모의 선박을 요구하느냐에 따라 조선사에서 건조하는 선박의 크기가 달라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컨테이너선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overdb.com/ko/top-10-largest-container-ships-in-2022/

    가장 큰 선박은 에버그린사에서 운영하는 23,992 TEU(20피트컨테이너)를 적입할 수 있는 운송선이라고 합니다.

    컨테이너는 규격이 정해져있으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radlinx.com/blog/guide/%EC%BB%A8%ED%85%8C%EC%9D%B4%EB%84%88-%EC%82%AC%EC%9D%B4%EC%A6%88-%EC%BB%A8%ED%85%8C%EC%9D%B4%EB%84%88-%EA%B7%9C%EA%B2%A9-%EC%BB%A8%ED%85%8C%EC%9D%B4%EB%84%88-%EC%A2%85%EB%A5%98-%EB%B3%84-%ED%8A%B9/

    감사합니다.


  • 1. 컨테이너는 해상 수출입시 다양한 화물을 담아 운송을 용이하게 해주는 용기이며, 대부분 철제로 만들어지고, 화물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규격화된 컨테이너에 담아 안전하고 신속한 운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수출입시 국제 운송에서 표준 규격에 맞춘 사이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컨테이너는 종류와 목적에 따라 크게 일반 컨테이너와 특수 컨테이너로 구분되며, 일반 컨테이너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드라이(DRY) 컨테이너라고 불립니다.

    2. 컨테이너는 다양한 사이즈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출입 물류 업무에서는 20피트(20’FT), 40피트(40’FT), 40피트 하이(40’FT HIGH CUBIC)가 많이 사용되고, 20피트 표준형(TEU)은 길이 20피트(6.1m), 폭 8피트(2.4m), 높이 8.5피트(2.6m)이고, 길이에 따라 40피트(12.2m), 40피트 하이큐빅(높이 9.5피트=2.9m), 45피트(13.7m), 48피트(14.6m)와 53피트(16.2m) 등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 종류는 20피트 컨테이너, 40피트 컨테이너, 40피트 HC(High Cubic) 컨테이너가 사용되고 있으며, 1) 20피트 컨테이너는 부피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는 화물 수출입시 많이 사용되고, 2) 40피트 컨테이너는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큰 화물 수출입시 사용되고, 컨테이너 내부용적 CBM만큼 화물을 꽉 채우지 못하는 이유는 상자와 상사 사이 공간이 발생하거나, Dead Space, 파레트 높이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며, 실질적으로 내부용적 CBM보다 80%~85% 정도밖에 적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FT 25CBM, 40FT 55CBM, 40FT HQ 65CBM 정도가 적재 가능 부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예를 들어, 중국에서 제품 수입시 운송 비용을 계산한다고 가정하고, 가로 45cm*세로 50cm*높이 55cm 규격의 상자를 컨테이너 종류별로 몇개나 적재가 가능한지 계산해 보면, 1) 20FT 컨테이너 평균 용적 25CBM 적용시 25CBM ​÷ 0.12375 = 202CARTON 적재 가능하고, 2) 40FT 컨테이너 평균 용적 55CBM 적용시 55CBM ​÷ 0.12375 = 444CARTON 적재 가능하며, 3) 40FT HQ 컨테이너 평균 용적 65CBM 적용시 65CBM ​÷ 0.12375 = 525CARTON 적재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컨테이너의 경우 2.44m X 2.6m X 6.1m가 표준규격사이즈이며, 이를 1 TEU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1 TEU에는 10개의 파렛트가 적재될 수 있으며, 파렛트 사이즈에 따라 적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컨테이너 길이를 기준으로 20 피트,40 피트, 40 피트 high Cubic 또는 Jumbo로 구분합니다.

    이 중에서 20 피트 컨테이너는 해상물동량의 산출을 위한 표준단위이며, 컨테이너선의 적재능력 의 표시기준이 된다고 합니다. .

    20 피트 컨테이너의 적재가능 부피는 약 32.858cbm(5.9m x 2.34m x 2.38m)이고 , 박스적재시 빈공간이 생기므로 실제 적재부피는 약 26cbm 입니다.

    컨테이너는 국제 물류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운송 도구이므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의 컨테이너의 정의는

    ① 일정기간에 재사용이 가능한 충분한 내구력을 가질 것

    ② 운송경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화물의 이적없이 일관운송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

    ③ 운송경로를 변경할 때 조작이 용이할 것

    ④ 화물의 적재와 양륙이 편리하게 설계될 것

    ⑤ 내부용적이 1m³ (35.3ft³)이상일 것 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