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미 요구 3500억 달러 투자 압박에 따른 경제영향도는?

미국이 한국에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요구를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잇는데요. 이 요구가 우리나라 금융시장이나 국가신용도에 미치는영향이 무엇일까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3,500억 달러 요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를 현금으로 요구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기에

    어떤 경우에도 이에 굴복하고 내주지 말아야 합니다.

    내주면 바로 IMF 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대규모 투자 요구는 반도체, 에너지, 방위산업 중심의 전략적 유도입니다. 단기적으로 한국 자금 유출 우려가 있지만, 기술 협력 확대라는 기회도 있습니다.

    정부는 균형외교와 산업 자립이 핵심과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투자는 우리나라에서 거액의 외환유출과 환율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의 신용도와 금융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요구하는 3500억 달러 규모 투자는 사실상 반도체나 배터리 등 전략산업 중심으로 봐야 합니다. 보기에 단기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투자 자금이 국내에서 빠져나가면 금융시장 유동성이 줄고, 환율에도 약한 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350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는 당장 집행하는게 아니라 미국이 요구하는것처럼 선금으로 납부하게 될경우 현재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고의 86%에 달하는 수치이며 연간 한국이 무역수지로 흑자로 벌어들이는 흑자도 7월과 8월 역대최대 규모였지만 대략 규모가 각각 107억과 91억달러 수준이었습니다.

    즉 그만큼 350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 규모는 한국의 보유한 거의 전체 가용가능한 달러자산을 전부 유출시키게 되는 규모이며 한국은 기축통화가 아니기 때문에 달러가 없다는 것은 한국의 무역결제에 있어서 심각한 리스크를 갖게 됩니다. 이는 수출뿐만 아니라 한국은 각종 원자재나 농산물등을 달러로 결제하여 들여와야 되는데 이런 부분이 사라지다보니 바로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주게 됩니다.

    이는 곧바로 한국의 원화가치가 크게 하락하여 단숨에 2000원이상으로 급등할수있고 단기간에 한번에 환율이 올라가게 된다면 기존의 계획했던 기업들의 예산이 전부 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각종 비용상승과 물가상승이 일어나면서 기업들의 비용증가로 인한 이익감소 거기다가 물가상승으로 인한 내수 충격등 이로 인해서 각종 실물위기나 자칫 외환위기로 벌어질수 있끼 때문에 350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압박은 한국에게 있어서 큰 위기를 가져다주는 요인으로 작동하게 될 수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3,500억달러 투자가 일종의 '선급금'이라고 한 것은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한국 외 그 어느 국가도 해당 금액에 준하는 투자 금을 먼저 실행한 바는 없습니다.

    해당 투자 금액의 선집행 시 한국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우리나라가 그 규모의 대미 투자를 감당하게 된다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3,500억 달러라는 금액이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준이라서, 만약 이 금액이 한 순간 해외로 빠져나간다면 외화 유출 압박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환율이 급등해서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고, 채권 시장에도 당연히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국가 신용도 측면에서는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대규모 외화 유출은 곧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줄어든다는 의미인데, 외화 유동성이 부족해지면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우리나라의 신용 등급을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이 3,500억 달러 투자를 현금으로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그렇게 될 확률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 그렇기 때문에 문제는 이 투자가 실제 감행될 경우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거덜납니다

    • 다시 imf가 찾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 국가 신용도 역시 급감하게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