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부지런한너구리138
부지런한너구리1385일 전

아이들과 싸우지 않고 공부할수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들과 싸우지 않고 공부할수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제가 가르쳐주다 보면 단짓도 하고 아는데 모른다고 하니 답답해서 큰소리로 뭐라고 한번씩하는데요

그래서 아이들과 싸우게 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부모님께서 자녀를 가르치다 보면 아이가 못따라 오거나 딴짓을 할때 화를 내거나 부정적인 언어를 쓸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는 자존감이 낮아지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릴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부모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자녀를 가르치는 일을 쉬운일이 아니라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과 다툼이 없을수는 없겠지만 부모님께서 아이를 가르치는 것 보다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아이들과의 관계에도 좋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가정에서 학습을 시키는 것은 부모님 마음대로 잘 되지 않을 때가 많을 것입니다.

    아이가 부모님 뜻대로 잘 따라와 주면 좋겠지만 주의집중이 힘들고, 문제를 이해하기 힘들어 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부족하다면 부모님 뜻대로 따라가기는 힘들 수 있습니다.

    아이가 딴짓을 하고 아는데 모른다 라고 하는 것은 아이는 현재 학습에 대한 흥미과 관심이 없고, 지루함을 느끼기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학습을 놀이와 게임형식으로 진행을 해보도록 하세요.

    그러면 아이는 학습에 대한 흥미과 관심을 느끼고 학습에 대한 재미를 느끼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리고 학습을 계속 이어가긴 보다는 중간에 쉬는 시간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의 학습을 도와주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이가 공부를 할 때 아이 옆에 앉아서 책을 읽으면서

    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 옆에서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과 싸우지 않고 공부하는 방법은 있다고 합니다. 공부를 할때는 부모님의 포지션이 아니고 선생님의 포지션으로 확실히 해줘서 경계를 줘야 된다고 합니다. 따라야 아이가 그 경계를 가지고 열심히 공부를 하고 싸우는 일이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보호자가 아이를 스스로 가르치기 힘들다면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아이와 부모에게 더 좋습니다. 부모가 직접 하고 싶다면 아이에 대한 기대를 낮추어야 합니다. 두세번에 못 알아들었을 때 화를 참지 못하고 짜증과 화를 낸다면 가르치기 힘듭니다. 아이도 화나고 부모는 더 짜증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 공부를 엄마가 시키면 싸우게 되는건 당연 합니다. 그래서 내 아이 내가 못가르친다는 말이 나오고요. 학원이나 과외를 시키는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님께서 하신다면 인내하고 또 인내하는거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습니다

    엄마는 내가 가르치는 제자로 보지않고 내 자식이라

    생각하고 아이는 선생님 보다 엄마로 생각 하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내 아이을 가르치려면 학교 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처럼

    실력이 있고 조리있게 가르쳐야 아이가 인정 하고

    따라 옵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 대한 기대를 낮추고 모를수도 있고 집중못할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세요 그래야 화가 덜 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런일이 많기에 교사도 자녀는 특히 사춘기쯤의 자녀는 직접교육을 안한다고들 합니다. 가르칠때 중요한건 계속다시 반복하더라도 답답하단 내색이나 화를 내시는것은 절대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좋지않은 행동입니다. 이것이 잘 조절안된다면 학원을 보내는것이 차라리 자녀와의 관계라도 좋게 유지할 수 있을것같네요.


  •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공부할 이유를 제시해 보세요 진로목표를 찾는것이 좋은 방법 입니다

    공부 전략을 세워 희망을 발견 하도록 도와주세요

    구체적인 공부법을 익히고 계획을 세우면 아이가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공부 할수 있어요

    집에서 공부하기 어려운 경우 독서실 이나 스터디 카페 등 환경을 바꿔서 해보세요

    파이팅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양이 꾸준히 하도록 합니다.

    공부 습관을 기르기 위함인데요.

    습관적이고 의무적으로 공부를 하면 잘하는데

    시간도 정해 놓지 않고, 공부도 하다가 안 하다가 하게 되면

    자꾸 딴 짓 하게 되고, 공부에 흥미를 잃어 버리게 되더라고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공부를 가르쳐 주실때 아이와 함께하는 이야기, 소통 시간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좋습니다. 애초에 우리 아이에게 부모님들께서 완벽함을 바라시기 때문에 그러한 욕심에서 비롯된 말과 행동들이 우리 아이들을 힘들게 할 수가 있답니다. 부모님들도 처음에 그러했듯이 아이도 완벽할 순 없습니다. 다만 이 완벽하지 않은 부분을 부모님과 함께 채워가는게 주목적인 것입니다. 부모님의 마인드 컨트롤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