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07

일본에도 막부가 몰락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일본 전국시대를 평정한 에도막부는 오랜동안 평화로운 패권을 누렸는데요 이들이 근대에 와서 몰락한 이유는 무엇인지 간단히 어떤 이유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192년 미나모토 요리토모란 자가 쇼군의 지위에 오른 후 가마쿠라에 막부, 즉 자신의 정부를 세웠다. 이때부터 막부에서 행정과 사법 등의 정부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로써 전국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조직이 탄생한 것이다.

    가마쿠라 막부가 1333년 막을 내린 지 5년 후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란 쇼군이 다시 나타나 교토에 막부를 세웠는데, 이를 아시카가(무로마치) 막부라고 한다. 이 무렵부터 막부의 장악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이는 쇼군의 부하로 지역을 분할하여 다스리며 다이묘(大名)라고 불리던 지방관의 세력이 강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560년대에 들어서면서 등장한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1534~1582), 임진왜란의 주역인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6~1598), 마지막 막부의 창시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1543~1616) 등이 모두 다이묘 출신이다.

    결국 아시카가 막부는 1573년 막을 내리고 다이묘들의 군웅할거 시대가 수십 년간 지속되었는데, 이러한 혼란기는 임진왜란을 거치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통일하면서 종말을 고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현재의 도쿄)에 막부를 설치하면서 세 번째 막부, 즉 도쿠가와 막부가 시작되었다. 도쿠가와 막부 산하에는 약 200여 명의 다이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자신의 영지에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했다.

    도쿠가와 막부가 지배하던 시절, 일본은 화려한 시대를 풍미했다. 농업 생산력 향상과 상업이 발달하면서 얻은 풍요로움 때문이었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서 농업 생산력에 기반을 둔 대토지 소유자들, 즉 다이묘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면서 사회는 근대적 상공업 사회로 변모되어 갔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따라 막부에 대한 거부감이 생기면서 도쿠가와 막부는 15대 264년에 걸친 통치에 종말을 고한다. 그 후 메이지(明治, 1852~1912) 천황이 즉위하면서 일본은 천황 직접 통치 시대를 맞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막부 [幕府] (세상의 모든 지식, 2007. 6. 25., 김흥식)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에도막부 질문이군요


    산킨고타이제도를 시행한다고 해서 각 번의 번주들이


    절대적인 충성을 맹세했던것은 아닙니다 게다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제도의 허점을 통해 막부의 통제를 벗어날수도 있었죠


    그리고 사스마번과 조슈번은 메이지유신이 일어나기 전에 이미


    서양의 군사력을 경험해보았습니다 영국,프랑스,네덜란드 연합군에 의해


    해안포대가 박살났고 수많은 군사들이 전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죠


    그렇기 때문에 서구열강을 두려워했고 적극적으로 개혁에 앞장섰던것입니다


    그리하여 다른 번들이 갑옷을 입고 구식 무기들로 무장하고 있을때 사스마와


    조슈번은 서양식 총기를 수입하여 자체적으로 서양식 무장을 갖추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세기 이후 부터 19세기 전까지의 막부 정권의 쇠락의 이유는 막부의 권력이 약화되고, 국내 적인 분쟁과 메이지 유신과 같은 미국의 외교적인 압력 등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볼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었다고 보여 집니다. 막부정권이 한창 일때 고려 시대에도 무신 정권이 있었는데 무신 정권이 몰락한 이유도 몽고와의 강화가 체결되고, 개경으로 왕조가 환궁을 하게 되면서 무신정권이 몰락하고, 부원세력이 득세하게 되는데 이것도 일본의 막부 정권이 쇠락 하는 이유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즉, 고려 떄는 몽골의 압력, 일본의 막부는 미국이 외부의 압력 세력이 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일수호통상조약이 직접적 촉발제였습니다. 에도막부 말기 서양 이양선이 들어와서 통상을 요구했는데 에도막부는 이를 거절하다 최초로 미국과 조약을 맺고 개항을 하게 됩니다. 서양의 공장제 물품들이 들어오게 되면서 수공업 및 상업 분야에 큰 타격을 받게 되고 개항을 하게 되었던 막부에 대한 불만이 축적되었고 결국 하급무사들이 주축이 되어 쿠데타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를 메이지유신이라고 합니다. 이제 일본은 봉건적 분권적 막부를 청산하고 중앙집권적 천황국가를 만들게 되면서 본격적인 근대화에 돌입하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결과 아래 사항 참고 부탁드립니다.

    에도 시대(1603년 ~ 1868년) 일본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어냈습니다. 에도 시대 중반부터는 외국과의 교류도 활발하게 일어나며, 일본은 서구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에도막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일본의 근대화와 열강국 가운데서의 입지를 확보하지 못한 채, 1868년에 몰락하게 됩니다.

    에도막부가 몰락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이유는 일본내의 자본주의적 요인과 외부적인 압력입니다. 일본 내부에서는 농업과 수공업이 발전하면서 산업화의 기반 조건이 갖추어졌습니다. 그 결과로 상인들과 지배층 사이의 대립이 심화되었고, 이는 치안을 해칠 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로 이어졌습니다.

    외부적인 압력으로는 서구 열강이 일본을 향해 강제 개방 요구를 하였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은 국방과 군사력 강화를 시도하였지만, 이러한 노력이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열강국들은 일본 내부의 분열을 부추기며, 일본을 약화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처럼, 에도막부는 일본 내부의 자본주의적 요인과 외부적인 압력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일본은 근대화를 추진하며, 민족주의적 운동이 활발해졌다고 하니 참고하셔서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