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근무 확산이 기업 문화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팬데믹 이후에는 원격 근무가 퍼지게 되면서 이제는 일부 업종에서는 일상적인 제도로 굳어지고 있다더라고요. 물론 저희 부서는 칼같이 무조건 출근이지만 옆부서만 하더라도 능동적으로 몇몇 조로 나눠서 재택을 하시더라고요. IT나 디자인업에서부터 컨설팅 업계에서는 여전히 원격 근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정부도 지방 일자리 확대와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던데요 찾아보니 재택근무 시 업무와 휴식 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오히려 근무시간이 늘어난다는 불만이 있다더라고요.
저는 재택을 당장하고 싶어서 참 꿈과 같은 얘기다 싶은데 이런 재택근무가 장기적으로 조직 문화 형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의문입니다. 원격근무 확산이 직원들의 워라밸을 지켜주는 제도로 안착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업무 스트레스를 낳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원격근무의 확산은 기업문화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초과근무나 스트레스 등의 문제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복지나 소통정책과 근무관리 시스템의 개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코로나 시대에 원격 / 재택 근무를 많이 하기는 했으나 소통제한 등 부작용도 많아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는 기업도 많고
절충형으로 근무형태를 조정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원격근무제(재택근무제)는 워라벨을 정착시키는 제도로서 유용한 제도임은 분명하나, 대인관계의 단절, 장시간의 노동 강요, 승진 및 성과평가에 대한 신뢰감 저하 등의 부작용을 보완하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