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요실금의 진단 기준이나 관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나이
3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요실금의 진단 기준은 무엇인지 또한 요실금의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평소 요실금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요실금은 환자의 병력과 신체검사, 요역동학 검사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요실금에는 복압성, 절박성, 복합성, 일류성, 진성 요실금이 있고 각 요실금에 따라 치료법, 관리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약물치료 등을 시도해보고, 약물치료와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케겔 운동, 커피나 음주 줄이기 등을 시행해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요실금은 증상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답니다. 치료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기는 해요. 복압성이냐 절박성이냐에 따라 약물 사용이 달라집니다.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구요. 대부분은 복압성 요실금이라서 케겔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요실금은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소변을 보고싶지 않은 상태에서 기침이라던가 달리기 등의 원인으로 소변이 세어나오는 경우 요실금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는 골반 기저부 근력강화인 케겔 운동이 도움이 되겠으며 필요시 수술을 할 수 있겠습니다.
비뇨의학과 진료를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