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적으로 Aldh효소가 많으면 술을 마셔도 간에 큰 악 영향이 없나요?
살면서 다음과 같은 경우를 많이보는데요
A는 술을 많이 먹어서 나중에 간염,간경변,간암이 찾와왔고
B는 A보다 더 많은 양의 술을 많이 먹어오고있는데도 간에 아무런 영향도 없고 현재까지 건강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들이 은근 많아서 그러는데요..
Aldh효소가 선천적으로 많으면
술을 많이 마셔도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간에 비교적 덜 해롭나요?
건강관리를 열심히 하던 A는 간이 나빠졌고
건강관리를 안하고 술을 자주먹는 B는 아무 이상이 없고....
저런 것을 보면서 뭔가 회의감이 들기도하는데
선천적으로 간이 튼튼하면 술을 마셔도 건강에 별 문제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ALDH가 많다면 분해가 빨라서 술에 덜 취하거나 숙취가 덜할 수는 있으나 간에 영향을 덜 주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술에 들어있는 알코올의 섭취량과 비례하여 간 질환의 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 분해효소가 많으면 덜취하는 것일뿐 간에 미치는 영향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안취하는 사람은 많이 드실거라서 오히려 간에 좋지는 않지요. 간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음주의 양과 도수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ALDH(알데히드 탈수소효소)는 체내에서 알코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이 효소는 알코올 대사의 두 번째 단계에서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독성 물질을 덜 해로운 물질인 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합니다. ALDH 효소의 활성도가 높은 사람은 아세트알데히드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그러나, ALDH 효소의 활성도와 관련하여 술을 많이 마셔도 간에 덜 해롭다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알코올이 간에 미치는 영향은 ALDH 효소의 활성도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간 건강, 알코올을 대사하는 다른 효소 시스템 등도 중요합니다.장기간에 걸친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손상과 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선천적으로 간이 튼튼하다 할지라도,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어 결국 간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아무래도 알코올 분해 효소가 많으면 그만큼 빨리 알코올을 분해해줍니다만, 그러한 사실 하나만 놓고 간 손상의 정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난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습니다. 다만 체질적으로 간이 튼튼하면 동일한 양을 섭취하였을 때 아무래도 건강 상 타격이 덜하긴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