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탁월한다슬기39
탁월한다슬기3922.12.03

무역할 때 거래 대금은 어떤 화폐를 사용하나요?

무역할 때 거래 대금으로 기축통화인 미 달러를 사용하는지, 혹은 흔히 준기축이라 불리는 화폐까지 가능한건지, 더 나아가서 원화와 같은 비기축 화폐들도 거래 대금으로 쓰이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무역 거래 시 사적자치원칙에 따라 대금결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도 당사자 간 합의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 별로 각각 대금결제를 위해 사용 가능한 통화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달러, 유로, 파운드 등과 같이 환율의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은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고 확실한 통화를 사용하는 것이죠.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환거래법 상으로 지정통화를 규정하고 있으며 해당 지정통화는 지정영수통화와 지정지급통화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정통화제도의 목적은 우량통화를 영수하는데 있으므로 국제거래에서 대가로 수취할 수 있는 통화인 지정영수통화는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홍콩 달러, 영국 파운드, 독일 마르크, 프랑스 프랑, 벨기에 프랑, 스위스 프랑, 이탈리아 리라, 스웨덴 크로나,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오스트리아 실링, 네덜란드 길더 등으로 선별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급에 사용되는 지정지급통화인 경우는 어느 나라의 통화이든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결제는 당사자 합의에 따르기 때문에, 어떤 화폐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는 강제로 규정하는 법령은 현재로써는 없습니다.

    다만, 많은 무역거래에 있어 범용성 ,신뢰성이 가장 높은 미국 달러를 선호하며, 그 이외에 엔화, 유로화, 위안화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끔씩 환차손 발생하는 걸 선호하지 않는 국내기업들은 원화로도 결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달러가 강세여서, 수입업체의 경우에는 달러 이외의 화폐로 결재하는 업체들도 늘고 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결제를 하는데 있어서의 통화는 국가적으로 어떠한 화폐를 사용하는 것이 강제되는 경우 등 예외적인 상황이 아닌이상 일반적인 경우에는 크게 제한이 없습니다.

    어떠한 화폐로 거래를 할지는 수출입 당사자의 선택이 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많은 무역거래들이 가장 신뢰성있는 화폐라고 볼 수 있는 미국 달러를 통한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도 일본과의 거래에서는 엔화거래를 유럽과의 거래에서는 유로화거래를 중국과의 거래에서는 위안화 거래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원화로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통상적으로는 미달러를 결제통화로 사용하게 됩니다.

    미 달러를 결제통화로 사용하는 이유는 범용성, 안정성, 그리고 어떤 국가의 화폐라도 달러로의 환전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준기축통화(위안, 엔, 유로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있으며, 현재는 달러가 워낙 강세이기때문에 준기축통화를 결제통화로 사용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원화와 같은 통화는 기업에 해당 통화가 남는 특수한 케이스가 아니라면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환전수수료, 안정성 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며 하며, 마음에 드시는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