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전이전이
전이전이23.07.17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 차이가 큰 이유는?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 차이가 1.5% 이상이나 차이가 나는데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한국은행이 금리를 3.5%에서 더 이상 올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과도한 금리인상을 우리나라가 따라가지 못한 것이며

    그 이유는 가계부채 및 부동산 시장 침체, 기업부채 등

    다양한 원인으로 금리를 올리지 못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고강도 금리인상을 계속해왔고 우리는 경기침체 및 가계부채문제로 계속 동결해서 그럽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이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이유는 가계 부채가 많아서 입니다. 가계부채는 OECD 국가 중에 최상위권입니다. 그러므로 한국은행에서 금리 인상을 하면 엄청난 충격을 줄수 있으므로 할수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미국에 비해 인플레이션 수치가 높지않고, 또한 가계부채가 심해 금리인상시 국내경제성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바 금리인상은 자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른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금리가 오르게 되면 가계부채가 엄청나게 큰 상태에서 이자부담을 커져서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침체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리를 쉽게 울리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크더라도 실질적인 한미간의 예금 금리는 한국이 아직도 높고 미국은 1% 도 안되기 때문에 가능한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달리 변동금리 비율이 높고 부채가 많기 때문에 금리를 더 높이면 기업이나 가계가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금융 리스크 및 경기기 여건의 불확실성도 동결의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대출에 관한 문제도 있고 인플레이션 수치 및 금리

    차이에 따른 문제가 컨트롤 가능하다고 보는 거 같습니다.

    아마 지금정도의 차이보다 더 벌어진다면 그때는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현재 기준 금리는 5.25%이고 한국은 3.5%입니다. 미국이 최강국에 기축통화국임을 고려하면 매우 큰 금리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요는 미국 금리 수준을 따라갈만큼 경제가 튼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아직도 제로 금리라 엔화 가치가 크게 떨어져 있습니다. 수출로 경제를 끌고 가려고 하고 있고 내수 경제를 지키기 위함입니다. 물론 놏은 수입물가 등으로 서민이 고통 받고 있으나 저금리 기보를 유지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국이 처한 환경과 경제력 및 정책이 추구하는 방향이 달라 미국 금리 수준을 떠라가지 못하고나 벤치마킹 하지 않는 국가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