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 rp형과 발행어음형 차이가 뭔가요?
cma는 증권사 계좌로 파킹통장과 더불어서 대기자금 보관용도로 쓰입니다. 그런데 cma를 보면 rp형과 발행어음형이 있는데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CMA 계좌에서 RP형과 발행어음형은 자금을 운용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RP형 CMA는 증권사가 고객의 예치금을 환매조건부채권(RP)에 투자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국공채나 우량채권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변동성이 적어 보수적인 투자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반면 발행어음형 CMA는 증권사가 자체적으로 발행한 어음에 고객 자금을 투자하는 형태입니다. 발행어음형은 RP형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증권사 자체 신용도에 따라 수익이 좌우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금을 보관할 때 안정성을 우선한다면 RP형이, 수익률을 조금 더 기대하면서 증권사의 신용도를 신뢰할 수 있다면 발행어음형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CMA 계좌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단기 투자 상품으로, 주로 대기 자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CMA는 RP형과 발행어음형으로 나뉘며, 두 유형은 운용 방식과 이자율에 차이가 있습니다. RP형은 증권사가 고객 자금을 국공채와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하여 발생한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로, 안정성이 높지만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반면, 발행어음형은 증권사가 직접 발행한 어음을 통해 운용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대신 신용 리스크가 다소 존재합니다. 선택 시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RP형, 수익성을 중시한다면 발행어음형이 적합하며, 각 상품의 수수료와 조건도 확인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cma는 증권회사 파킹통장 같은 개념이죠
cma rp형은 주로 국고채권 공사채권 금융채권 우량회사채권에 투자하여서 얻는 수익으로 고객들한테 이자를 준다고 생각하심 됩니다
cma 발행어음형은 자기자본 4조원이 넘는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발행어음에 투자해서 얻는 수익으로 고객들한테 이자를 준다고 생가하면 되구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RP는 환매조건부채권을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이 보유채권을 매각후 일정 기간 후에 다시 해당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입이며 이는 보통 초단기 자금형태로 기간이 이루어집니다.
상대적으로 매우 안전한 국채나 금융채등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환금성도 매우 높고 단기수익률오 높은편입니다. 즉 CMA RP는 이 RP에 집중투자하고 여기에서 나온 수익률을 일부 고객에게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발행어음형은 기업의 단기발행어음을 집중투자 하는 방식이며 발행어음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단기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발행되는 유가증권입니다. 기업이 자가신용으로 발행되는 단기차입을 위한 어음이며 보통 선할인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입니다.
즉 CMA주로 투자하는 곳이 RP나 발행어음이냐의 차이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발생되는 단기 운용수익으로 고객에게 단기적으로 꽤 높은 수익을 보전해주는 상품인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