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관련하여 KPI와 OKR 에 대하여
조직의 목표와 성과를 관리할 때 KPI를 많이 사용했는데 최근 OKR에 대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OKR의 뜻과 차이점, 그리고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OKR은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Key Results)의 약자로, 측정 가능한 팀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 설정 방법론입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OKR(Objective Key Result)는 목표와 핵심, 결과지표의 약어로 KPI가 측정이라면, OKR은 목표를 추진하는데 있습니다. 즉, 주요 업무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을 관리하는 게 목적입니다. 다만, OKR은 목표를 수립하고 공유하는 단계에서 많은 피드백이 요구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
조직의 목표와 성과를 관리할 때 KPI를 많이 사용했는데 최근 OKR에 대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OKR의 뜻과 차이점, 그리고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OKR관련문의로 사료되며,
OKR은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Key Results)의 약자로, 측정 가능한 팀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 설정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OKR은 ‘Objective(O):목표’와 ‘Key Result(KR):중요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KR은 ‘Objective and Key Result’에서 알 수 있듯, 정성적 목표와 정량적 목표가 혼합된 기법입니다.
OKR은 먼저 정성적인 목표를 하나 세워, 그 목표에 기반한 정량적인 지표를 3~5개 작성합니다. 각 지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목표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달성했는지 여부가 명확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OKR은 구글에서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는데
Objective - Key Result의 약자로
기존에 MBO와 비슷한 점이 있기는 하나, 차이점은
목표를 하향식으로 정하는게 아니라 부서장과 부서원이 협의하여 상향식으로 정한다는 점이고
일, 주, 월 단위로 꾸준히 부서장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목표 달성을 점검하며
도전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조직 - 부서 - 개인의 목표를 일치시킨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도전적인 목표를 잡도록 하기 위해 목표 달성 여부가 성과 보상에 연계되지 않습니다.
적용 방안은 이렇게 인터넷 답변드릴 수 있는 사항이 아닌 컨설팅 사항이므로
컨설팅 업체를 알아보시거나 책이라도 한권 구입해서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KPI는 핵심서과지표로서 보상 수준을 결정하는데 주로 활용되고 수직적 방식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만 OKR은 목표와 핵심결과로서 목표달성에 따른 영향과 결과의 인과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향식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동기부여에 더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