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최근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매달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

안녕하세요 . 최근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매달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왜 달러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달러 강세가 되고 있는 건가요 ?

국내로 달러가 많이 입금되면 달러 약세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달러가 많이 유입되는 것 보다 유출이 크진 않습니다

    • 그럼에도 하락하는 이유는 원화의 가치 자체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원화가 시중에 많이 풀릴수록 그 가치는 하락하게 되고 환율은 오르는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원화 강세 요인이지만, 현재 원화 약세 기조가 이어지는 주된 이유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어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서 안전 자산인 달러 선호 심리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한미간 금리 격차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유려가 흑자 효과를 상쇄하며 환율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로 벌어들인 달러가 다시 해외로 대규모 투자 및 자본 유출로 빠져나가면서 달러 수급에 큰 영향이 없게 됩니다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금융 계정을 통한 달러 순유출 구조가 강해 환율은 달러 강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수입이라서 흑자이면 질문자님 말씀대로 원화평가절상 달러약세 원화 강세 외화공급증가가 맞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거시경제학적인 얘기입니다

    세상이 이론대로 돌아가면 모두다 주식공부하여 주식으로 먹고살것입니다 한국의 글로벌입지가 수출의 증가분만큼 갉아먹히고있어서 그런것같습니다 물론 현정권얘기는 아닙니더

    불과 얼마전까지 탄핵되었던 나라에서 누가 달러강세약세를 논하겟느냐가 지금 세계의 시선인것입니다 

    그것이 수출과 수입의 흑자로 조금 완화되어 현재 환율이 겨우 유지중인것이구요

    환율은 다시한번말하지만 하나의 변수로만 충족되는 지표가아닙니다 적게는 수개에서 많게는 수십개의 변수가 적용되는 지표가 환율입니다 

    이상 작지만 저의 소신이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로 달러가 국내에 많이 들어오는 것은 맞지만, 환율이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 요인이 겹쳤기 때문이에요.

    가장 큰 이유는 기업과 개인이 해외 주식이나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에 달하는 달러가 금융계정을 통해 다시 해외로 유출되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이 때문에 수출로 번 달러가 국내 외환시장에 순수하게 남아 원화 가치를 올리지 못하고 해외로 새고 있는 셈이죠.

    여기에 더해 미 연준의 고금리 정책 등 글로벌적인 달러 강세 요인까지 더해지면서 원화 약세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경상수지의 흑자가 이어짐에도 달러가 강세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들어오는 달러 보다는 나가는 달러가

    더 많기 때문에 약세가 이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경상수지 흑자로 달러가 들어오긴 하지만 현재 자본시장에서 달러로 투자하는 비중이 높아져서 경상수지 흑자분을 능가하는 환전 수요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도 해외투자를 하고 특히 요즘 개인투자자들이 미국 증시에 투자를 많이 하면서 지속적으로 달러 수요가 국내에서 늘고 있어서 원달러 환율이 단기간에 내려가긴 어려운 구조적인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로는 달러가 들어오지만 동시에 우리 기업, 연기금, 개인이 해외 주식, 채권, 부동산에 대규모로 투자하면서 금융계정으로 달러가 많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상승=원화 강세’나 ‘경상흑자=원화값 상승’ 공식이 깨진 것으로, 최근 고환율 지속의 주된 이유로는 달러 강세보다는 원화 약세가 더 크게 지목되고 있는데요. 경상흑자로 벌어들인 달러가 금융계정을 통해 대부분 해외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개인과 연기금이 앞다퉈 해외 주식·채권에 투자하고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