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10.22

명나라는 정화의 남해원정이후에 해금령을 내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명나라는 과거의 정화의 전세계 남해원정이라는 큰 업적이 있는데요.

물론 이는 전세계 정복도 교역도 아닌 단순한 원정으로 알고 있긴 합니다.

그런데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명나라는 해금령이라는 문을 걸어잠그는 정책을 하는데 그배경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세기는 동아시아 전역이 혼돈에 빠진 시기로, 1330년 경 제 2차 선페스트 유행이 몽골에서 발생, 하북과 산서의 인구 대다수 및 기다 지역의 100만에 달하는 인구가 희생됩니다. 1351년 ~ 1354년까지 3년 동안은 다른 유행병이 폭발, 정부의 소금 전매와 황하를 통한 심각한 홍수에 의한 기존의 반한들은 홍건적의 난을 야기, 1368년 명이 건국되나 원의 잔존세력으로 북쪽의 토곤 테무르의 북원과 남쪽의 운귀 지역 양왕 세력과의 전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공민왕은 몽골로부터 독립, 홍건적이 평양을 초토화시키면서 빼앗긴 북변 지역들을 수복, 일본의 경우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복구가 가마쿠라막부를 전복시키는 것에 성공하나 결국 무로마치막부로 대체 됩니다.

    일본 주변부에 대한 통제 약화는 왜구들이 고립된 섬들을 중심으로 기반을 마련하게 했고 쓰시마, 잇키, 고코 열도가 그러했으며 왜구들은 일본 본토뿐 아니라 한반도와 중국 대륙까지 침략합니다

    반란군 지도자 주원장은 예산 세원으로서 해외무역을 고취, 그러나 명의 첫 황제 홍무제로 등극하면서 홍무 4년 주원장은 해금령을 반포합니다.

    모든 해외 무역은 공식적인 조공사절단을 통해서만 가능 , 조공무역은 명조의 대표단과 속국 사이에 이뤄지며 사무역 종사자는 적발 시 사형, 그 가족과 이웃은 유배되었습니다.

    홍무 17년 영파, 광주, 천주에 있던 시박제거사를 철폐, 선박, 선창, 조선소는 파괴되며 항구는 바위와 소나무 말뚝으로 차단, 일반적으로 해금은 중화제국과 관련시키고 있지만 세원으로서 장려, 특히 당, 송, 원대에 중요했던 해외 무역을 장려한 기존의 전통과는 어긋난 것이었습니다.

    정화 원정대는 명조 정부가 해외 교역을 독점하려는 목표로, 1449년 토목보의 변으로 정통제가 몽골에게 체포되면서 몽골이 급부상함에 따라 원정은 중단, 큰 규모를 자랑하던 해외 사무역으로 인해 전투용 말과 같은 물품을 명조가 구입하려는 것에 있어 가격 경쟁을 불러왔고 재정은 재배치 되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정화 원정의 중단으로 동남아시아와 인도양에서의 중국인 교역은 지속, 명 후기 동남아에서 중국인들이 수행한 사무역 혹은 밀무역이 급증합니다.

    만력 41년 명조는 장강 남쪽과 북쪽 지방간의 해상교역을 금지, 이를 통해 선장들이 강소성, 당시는 남직례성으로 가서 일본으로 방향을 트는 것을 막고자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나라는 해상 교통과 무역을 제한하는 해금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홍건적의 난을 통해 건국한 한족 왕조인 명나라는 북쪽에 몽골 잔존 세력이 존재했고, 해안으로 왜구들의 해적질이 빈번하여 위협을 받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주변 세력으로 부터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해금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 영락제 때 정화의 남해 원정은 명 중심의 조공 질서를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따라서 명에 대한 사대 외교를 바탕으로 경제적으로도 조공 무역을 통해 동아시아 질서를 유지하려는 명분에서 해금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해금 정책은 외국과 교류로 얻는 명의 발전에 저해했으며, 쇠퇴의 원인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