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헛된 꿈을 꾸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예인, 그리고 자산, 차.이런 외형적인 부분에 관심만 가지고, 현실세계와 동떨어지게 살아가고 있는데, 이런 아이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주면 좋을까요? 이러다 시간이 지나면 좀 괜찮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꿈을 키우는 것은
아이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로 하는 부분 입니다,
꿈이 없다 라면 아이는 바른 마음, 바른 정신을 가지고 성장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하지만 아이가 동 떨어진 현실세게를 마주 하지 못하는 이유는
또래 문화, 메스컴을 통한 정보가 받아들임이 쉽고, 이러한 부분을 해보고 싶다 라는 욕구가 분출됨이 커서
헛된 공상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요,
아이에게 헛된 공상 이라며 크게 꾸짖긴 보담도 아이의 기분과 마음을 이해하면서 아이에게 이러한 꿈이
좋은 점도 있지만 좋지 않은 점이 있다 라는 부분을 인지시켜 주면서 지금 현재로써 어떻게 행동을 하고
어떻게 발전 시켜야 되는지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튜브나 인스타 같은 SNS를 많이 접하다 보면 보이는 삶에만 집착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노력과 도전으로 인해 성공한 삶의 이야기를 해주세요
부모님의 경험담이나 50번의 거절 끝에 성공한 62세의 KFC 사장 코넬 샌더스 이야기를 해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가 헛된 꿈을 꾸고 있을 때의 대처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외적인 요인에 관심을 갖거나 집착하는 이유는 사회적 영향, 자아 정체감 형성 중, 칭찬의 방향일 수도 있습니다.
현실적인 대처 방법으로는 '외적인 요인보다 행동이나 태도를 칭찬하기'
다양한 롤모델 보여주기, 꿈에 대해 함께 탐색하기, 자존감 키우는 활동 권장하기 등의 활동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관심이 외형적 가치에 치우쳐 있다 해도, 그것이 단순한 호기심인지 진지한 목표인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섣불리 비난하기보단 '왜 그게 멋져 보이는지'를 함께 이야기하며 생각을 확장시켜주는 것이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생각은 바뀌지만, 지금 어떤 대화를 나누느냐에 따라 그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어린 나이에는 자신이 이해와 현실에 대한 괴리와 간극이 발생하기에 마련입니다. 물론 그걸 교정해 주고 현실에 가깝게 두는 것도 필요하기는 해요. 아이가 단순히 그런 상상과 생각만 하는 거라면 크면서 교정이 되겠지만, 아이가 망상이나 비현실적인 사고로 성장에 위협이 된다면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말해주시는 게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