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22.09.06

조선시대 화장실 분뇨는 어떻게 처리 했을까요?

요즘같은 정화조 시설도 없던 우리 선조시대 사람들은 화장실의 분뇨처리를 어찌했을지

알고 싶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한집씩 돌아가면서 치워주고 그런식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화장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요강이라는 것도 여전히 있었구요,

    분뇨는 도지 근교에 채마 밭에다 거름으로 사용했습니다.

    물론 하인들과 농부들이 인분을 퍼서 사용했겠지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한양 외 지역에서는 분뇨를 퇴비로 만들어 농사에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한양 내에서는 농사가 금지되어 있어 퇴비로도 만들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처리할 방법이 없어 위생 문제가 심각했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근대 시기 분뇨는 오물이긴 하지만 농사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기에 그냥 버리지 않았습니다. 저 어렸을 때만 해도 분뇨를 수거하먼서 사가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농사퇴비로 오늘날과 같이 화학비료가 없었기에 동물의 배설물과 인분은 비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부뚜막 불때고 남은 재와 인분을 섞고 쌀겨, 볏집, 콩깐것 등을 섞으면 토양의 토질을 개선하는 비료로 잘 활용되었습니다. 전근대 시기 토양이 지력을 회복하지 못하면 매해 농사짓기가 어려워, 해걸이를 해야하는데, 이렇게 퇴비를 쓰면 매해 농사지어 소출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0~60여년전 우리나라의 농촌에 가면 나던 냄새를 기억하시나요? 나이가 어린 사람들은 잘 모를것이지만 저같이 70이 넘은 사람들은 알것입니다 분뇨를 거름으로 사용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배추로 김치를 담궈 먹어도 기생충 알이 우리 몸속에서 부화하여 우리몸에 기생충이 살고 있던겁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큰 항아리 같은 것을 땅에 묻고 용변을 보았습니다. 그 용변이 가득 차면 퍼내어서 농사용 비료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