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이후 영국과의 무역 거래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의 무역 환경이 변화하면서 저희 회사는 새로운 규제와 절차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통관 절차, 원산지 기준, 관세 부과 등 무역 거래에서 주의해야 할 주요 사항과 이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의 무역에서는 통관 절차와 규제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철저히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관 절차에서는 서류의 정확성과 세부 사항 준수가 필수적이며, 영국의 새로운 수입 규정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원산지 기준은 영국과 EU의 무역협정에 따라 변경되었으므로, 제품이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지 사전에 확인하고 관련 증빙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관세 부과 역시 이전과 달리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율 및 면세 혜택 여부를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런 변화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국의 무역 규정에 대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전문적인 통관 대행업체를 활용하면 복잡한 절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무역 관련 부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서류 작성과 검토 시간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무역 거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의 무역 거래에서는 새로운 통관 절차와 규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영국이 EU 단일시장에서 이탈함에 따라, 통관 절차가 복잡해졌으며 안전 및 보안에 대한 요약 신고, 완전한 세관 신고 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화물 운송업자, 통관 대리인, 특송업체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원산지 기준과 관련해서는 한-영 FTA와 영-EU 무역협정의 적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EU산 재료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 해당 재료가 한-영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을 충족해야 역내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EU산 누적 원산지 인정은 협정 발효일로부터 5년간 한시적으로 허용되므로 이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관세 부과와 VAT 등록에 관해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판매 방식에 따라 VAT 등록 및 부과 의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거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협정 해석과 실무 적용에 있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출입 전에 양국 관련 기관과의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규정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서류를 꼼꼼히 준비하여 통관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브렉시트에 따라서 영국과의 무역은 별도로 진행이 필요합니다만, 크게 변경된 점은 없습니다. 다만 서류에 있어서 UK에 대한 명칭을 명확하게 사용하시고 추가적으로 기존의 FTA를 한-UK FTA를 활용하여야되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그리고 EU로 UK에서 물품이 이동하면 수출입 신고가 필요한 점도 고려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브렉시트 이후 우리나라의 경우 한-EU FTA활용이 불가능해지면서 브렉시트 시행과 동시에 한-영 FTA가 발효되었습니다.
한-EU, 영국 FTA의 내용은 거의 유사하나 관련 사항을 잘 확인해서 FTA 적용을 진행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또한 영국내 통관에 관한 사항은 영국내 통관전문가의 통관절차 수행을 통한 업무진행이 필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영국은 과거 EU 소속의 국가로 EU의 규정을 적용받았지만 브렉시트로 독립하여 자국의 법령에 따라 적용합니다.
다만, 전반적인 규정은 대부분 유지되는 편이지만 FTA 측면에서 한-영국 FTA를 별도로 적용해야하며, 한-EU FTA와 동일하게 6천 유로 초과 수출시 반드시 인증수출자가 있어야 하므로, 미리 한-영 FTA로 취득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관세도 별도의 관세율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관세율을 먼저 조회하여 인증수출자 및 FTA 활용여부를 판단하시면 업무하시는데 효율적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