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으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연금저축은 납입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세액공제를 해주기에 연말정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는 분들도 있던데 이러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 공제 한도 이상 납인은 당장의 세액 공제 혜택은 없지만,

    과세이연 효과, 연금 수령 시 세금 부담 감소 가능성, 중도 인출의 유연성, 그리고 더 많은 노후 자금 확보라는 장점을 가질 수있습니다.

    주의할 점으로는 단기적인 세금혜택 감소, 장기적인 관점 필요, 중도 해지시 불이익도 있으니_

    개인의 소득 수준, 투자 목표, 자금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제 한도 초과 납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게 되면 어떤 장점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게 되면

    세액공제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 비과세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을 세액공제 한도(연 400만~600만 원) 이상으로 납입해도 운용 수익이 비과세로 불어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비과세 혜택을 받으면서 노후 준비를 차곡차곡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산 관리의 효율성이 큽니다.
    또한 공제 한도 초과분도 연금계좌 내에서 계속 투자되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즉, 세액공제 외에도 장기적인 노후 자산 증식 측면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 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한도를 초과해도 몇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연금저축 안에서는 운용 수익에 세금이 붙지 않기 때문에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노후 자산 마련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어 자산을 장기적으로 묶는 데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납입하면 세액공제 외의 금액에 대해 전액 비과세 수령입니다. 향후 부과될 가능성은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하면 연간 공제 한도는 600만원이라 세액 공제는 없으나 연금 수령시 이자소득세 면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노후 자금을 위해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여 노후 자산을 마련할 수 도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이월이 가능하며 향후 공제 한도가 남는다면 이 금액을 세액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