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으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연금저축은 납입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세액공제를 해주기에 연말정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는 분들도 있던데 이러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 공제 한도 이상 납인은 당장의 세액 공제 혜택은 없지만,
과세이연 효과, 연금 수령 시 세금 부담 감소 가능성, 중도 인출의 유연성, 그리고 더 많은 노후 자금 확보라는 장점을 가질 수있습니다.
주의할 점으로는 단기적인 세금혜택 감소, 장기적인 관점 필요, 중도 해지시 불이익도 있으니_
개인의 소득 수준, 투자 목표, 자금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제 한도 초과 납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게 되면 어떤 장점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넣게 되면
세액공제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 비과세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을 세액공제 한도(연 400만~600만 원) 이상으로 납입해도 운용 수익이 비과세로 불어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비과세 혜택을 받으면서 노후 준비를 차곡차곡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산 관리의 효율성이 큽니다.
또한 공제 한도 초과분도 연금계좌 내에서 계속 투자되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즉, 세액공제 외에도 장기적인 노후 자산 증식 측면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 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한도를 초과해도 몇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연금저축 안에서는 운용 수익에 세금이 붙지 않기 때문에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노후 자산 마련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어 자산을 장기적으로 묶는 데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을 공제한도 이상으로 납입하면 세액공제 외의 금액에 대해 전액 비과세 수령입니다. 향후 부과될 가능성은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하면 연간 공제 한도는 600만원이라 세액 공제는 없으나 연금 수령시 이자소득세 면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노후 자금을 위해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여 노후 자산을 마련할 수 도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이월이 가능하며 향후 공제 한도가 남는다면 이 금액을 세액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