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4.02.20

고이왕보다 왜 근초고왕이 백제의 전성기라 평가하는 거죠?

안녕하세요? 고이왕은 왕의 힘을 키우기 위해 법도 만들고 관리직도 나누고 그랬는데 그런데 백제의 전성기는 근초고왕때라고 하는데 왜 그러는 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초고왕의 즉위는 백제에게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내부 반대와 외부 도전에 직면한 젊은 왕은 전략적 통찰력과 리더십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백제 내에서 서로 다른 세력들을 통합하려는 그의 노력은 더욱 결속력 있는 왕국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근초고의 재위 초기는 백제를 한반도의 강자로 세우겠다는 결심이 특징이었는데 군사력과 지역적 영향력 근초고왕이 남긴 유산의 중심에는 그의 군사력과 전략적 비전이 있다고 합니다. 주변 왕국, 특히 고구려와 신라의 끊임없는 위협에 직면한 근초고는 백제의 영토를 확보하고 확장하기 위해 군사 작전을 벌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는 근초고왕 때에 북쪽으로 한강 이북 지역까지 진출하였고, 남쪽으로 마한을 모두 통합하여 그 영토를 남해안까지 넓혔으며, 바다 건너 중국과 일본에도 그 세력을 뻗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3세기 8대 고이왕은 기틀을 마련한 왕입니다. 고이왕은 한강 유역을 확보하고, 한군현과 경쟁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관등제를 정비하여 중앙집권화를 이룹니다.

    그런데 백재의 전성기는 4세기 13대 근초고왕 재위 시기입니다. 근초고왕 재위시에는 마한 연맹의 대부분을 통일하고,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황해도 일대 까지 진출합니다. 이로써 중국-백제-가야-왜를 연결하는 해상 교역로의 주요 거점을 확보하였다. 나아가 동진과 국교를 맺고 가야, 왜와 친선 관계를 구축하며 대외 교류를 활발하게 펼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일반적으로 고이왕 때는 백제라는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보며, 이렇게 형성된 기틀을 기반으로 근초고왕 때 대대적으로 영토확장 및 중국, 왜(일본)로의 진출이 이어졌으므로 이때를 전성기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