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취득세·등록세 이미지
취득세·등록세세금·세무
취득세·등록세 이미지
취득세·등록세세금·세무
멋쟁이하
멋쟁이하20.10.28

증여세에도 지방소득세가 따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양도소득세는 납부할때 10% 지방소득세가 붙는다고 하는데

증여서도 10% 지방소득세를 추가로 납부해야하는지요?

증여세도 지방소득세가 붙으면 왜 양도소득세랑 증여세 신고할시 지방소득세도 납부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0.29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형건 세무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해주신 경우, 양도소득세의 경우 지방소득세 신고 납부 하셔야 하지만, 증여세 또는 상속세의 경우는 지방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최영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증여세에는 지방소득세는 붙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세만 납부를 하면 되는 것 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지방소득세를 별도로 신고납부하여야 되지만 증여세는 지방세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설민호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닙니다. 소득세에는 지방소득세가 추가로 과세되는 것이나 증여세에는 부가되는 세금이 없습니다.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 경우 보다 상세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방소득세는 개인지방소득세와 법인지방소득세가 있습니다. 소득세(종합소득세, 양도소득세, 퇴직소득세 등)와 법인세에 10% 추가로 부과되는 것이 지방소득세입니다. 법에 열거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세와 증여세는 지방소득세는 별도로 부과되지 않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에 지방소득세가 부과되지 않는 논리적인 이유는 특별히 없습니다. 법을 제정하신 분이 그렇게 제정을 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상속세와 증여세의 세부담 자체가 크므로 지방소득세까지 부과하면 너무 세부담이 커질수도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영우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증여세에는 지방소득세가 별도로 부과되지 않습니다. 지방소득세는 말 그대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납세자의 소득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목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정동호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증여세는 지방소득세를 별도로 신고나 납부하지 않습니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법에 따른 소득세와 법인세법에 따른 법인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는자가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양도소득세는 소득세의 한 부분으로서 양도소득에 대해서만이 아닌 모든 소득세에 지방소득세가 10% 추가로 과세됩니다. 근로소득 원천징수, 퇴직소득 등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증여세와 상속세의 경우 지방세법에 근거하여 과세한다는 내용이 없어서 부가되는 지방세는 없읍니다.모든 법에는 과세근거가 있어야하나, 상속세 및 증여세에는 부가되는 세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