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산화환원 반응식 계수 맞출때 질문이요
산화환원 반응식의 계수 맞출때 산소랑 수소를 제외한 다른 원소의 반응한 총 전자개수를 맞추기 위해서 반쪽반응식에서 각각 반응식 전체에 2를 곱하든 3을 곱해서 반응한 총 전자개수를 맞추잖아요. 근데 이때 산소랑 수소가 반응한 전자 개수는 왜 고려하지 않는건가요?
산소랑 수소도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하는 원소인데 각 원소에 반응한 전자 개수를 고려하여 곱할때 산소랑 수소가 반응한 전자개수는 왜 빼고 고려하는지 이해가 안가요.
예를 들어 "Cl2 + Cr(OH)3 -> Cl- + CrO4(2-)의 반응식을 완성하시오"라는 문제가 있을 때 산화/환원 반응식의 질량과 전하를 고려해서 반쪽반응식을 완성하면
산화: Cr(OH)3 + H2O -> CrO4(2-) + 5H(+) + 3e-
환원: Cl2 + 2e- -> 2Cl-
인데 Cr은 총 반응한 전자가 3개고 Cl은 2개 여서
Cr(OH)3 + H2O -> CrO4(2-) + 5H(+) + 3e- 이 식 전체에 2를 곱하고 Cl2 + 2e- -> 2Cl- 이 식 전체에 3을 곱하잖아요. 근데 산화 반쪽반응에선 H도 있고 O도 있는데 왜 Cr이 반응한 전자 개수만 따지고 H와 O에 반응한 전자개수는 고려 안하고 전체에 2를 곱하는건지 모르겠어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