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23.05.12

경제지표에서 계절 조정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간혹 경제지표를 보다보면 계절 조정치를 포함하였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근데 여기서 말하는 계절 조정치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지표에서 계절조정치는 계절적인 변동이나 패턴을 제거하여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계절조정치는 경제지표 중에서도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고용률 등에서 주로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통계를 이용하다 보면 기후나 설·추석과 같은 사회적 관습 및 제도 등으로 인해 흔히 1년을 주기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변동현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동을 계절변동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절조정이란 어떤 기준 시점에서 대상 기간 중 발생한 경제활동 변화만을 감안하는 것인데요. 이는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조정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연간 GDP 성장률이나 소비자물가 상승률 같은 경우에는 분기별로 발표되기 때문에 전체 시계열 내 변동성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되면 실질GDP나 인플레이션 수준 파악 시 왜곡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연도별 혹은 분기 단위로만 측정된 값 대신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값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특정 시기마다 상이했던 기저효과(Base Effect) 문제도 해결 가능하죠. 이런 점에서 볼 때 통계청에서는 산업생산지수 산정 시 1월부터 12월까지 전산업 생산지수를 가중평균해서 사용하고 있고 제조업가동률지수 역시 4분기 데이터만으로 집계하지 않고 월별 지수를 모두 더한 후 3개월 이동평균법을 통해 계산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설비투자지수 작성 시 원계열 대비 계절조정 계열 구성비를 고려하며 수출입물가지수에서도 전기대비 증감률뿐만 아니라 전년동기대비 증감률로도 공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절조정치라는 것은 실질적인 경제의 변동성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계절의 요인에 따라서 발생하게 되는 요인을 고려하여 이를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