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우리나라 품사 중에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아니하다, 못하다 둘 다 같은 뜻인데요, 보조 동사일 때도 있고 보조 형용사일 때도 있더라구요 하다 같은 경우에도 그런 것 같은데요 두 가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는 본용언의 성격과 활용 형태에 따라 구별할 수 있겠습니다.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의 구별은 본용언(앞에 오는 용언)이 동사인지 형용사인지에 따라 결정이 되며, 형태적으로는 현재형 선어말 어미 '-는-'을 붙여 자연스러운지 확인하는 방법을 쓰면 되겠습니다.

    -본용언이 동사(동작/행위)이면 뒤따르는 '아니하다', '못하다', '하다' 등이 보조 동사로 쓰입니다.

    -본용언이 형용사(성질/상태)이면 위 표현이 보조 형용사로 쓰입니다.

    -보조 용언 의 어간 뒤에 선어말 어미 '-는-'을 붙여 자연스럽게 되면 보조 동사, 그렇지 않으면 보조 향용사로 보면 되겠습니다.

    '아니하다, 못하다' 품사 구별 예시

    -'먹지 아니하다', '가지 아니하다': '먹다', '하다'가 '동사'이므로 '아니하다'는 '보조동사'.

    -'곱지 아니하다', '맑지 아니하다': '곱다', '맑다'가 '형용사'이므로 '아니하다'는 '보조 형용사'.

    -'눈물 때문에 말을 잇지 못하다', '바빠서 동창회에 가지 못하다': 본동사가 동사이므로 '못하다'는 '보조 동사'.

    -'편안하지 못하다', '아름답지 못하다': 본동사가 형용사이므로 '못하다'는 '보조 형용사'.

    '하다' 품사 구별

    -'하다'는 명사 등의 뒤에 붙을 때 동사 또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고, 앞말의 품사가 동적인 의미면 보조 동사,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면 보조 형용사입니다.

    -'-는-'어미, 예: '하는 중이다'처럼 진행형이 자연스러우면 보조 동사, 어색하면 보조 형용사 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말의 보조용언은 본용언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해 주는데 성격에 따라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로 나뉩니다. 이를 구별하는 방법은 본용언과 결합했을 때 문장의 의미와 문법적 성격이 동사적이냐, 형용사적이냐를 따져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먹어 보다, 달려 보다'와 같은 표현에서 '보다'는 '행위를 시험적으로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동작성이 있고 보조 동사로 분류됩니다. '예뻐 하다, 착한 척하다'에서 '하다'는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과 결합해 형용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보조 형용사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결국에는 앞의 본 용언이 동사인지 형용사인지를 보아야합니다..

    우리말은 주어 + 술부로 구성되므로 영어와는 달리 동사 형용사를 하나로 묶어 용언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자 그럼 예를...

    • 최신 비디오게임을 플레이하고싶다...(보조동사)

    • 그 최신 비디오게임 타이틀은 재미없다.. (보조형용사)

    결국 앞의 본용언인 플레이하(다)...재미(있는)의 성질을 잘 확인하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