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8

세계 무역선 어떻게 운영이되나요

세계 무역선이 있다고 알고 있는데 세계 무역선은 어떻게 운영되고 몇대정도 운영중인가요??그리고 크기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경훈 관세사blue-check
    전경훈 관세사23.06.19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The 국제해운회의소(ICS) 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바다와 대양을 항해하는 무역선은 약 50,000척에 달하지만 모든 선박이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체 무역선 중 컨테이너 운송에 특화된 선박은 약 5,500척으로 확인됩니다.

    오늘날 컨테이너선의 구조는 일반 화물선 및 벌크선의 구조와 크게 유사합니다. 전체 구조는 선박 바닥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위치한 튼튼한 용골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선체는 철판과 프레임, 지지 빔, 해치 커버, 갑판 아래에 위치한 화물칸을 형성하는 기타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화물칸에는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추가 화물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물과 연료 탱크, 소방 펌프, 하수 시스템, 에어컨 시스템 등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현대 컨테이너선의 갑판에는 갑판 위의 컨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강철 구조물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화물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고 내리기 위해 여러 대의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선에는 최대 3,000TEU의 피더라고 불리는 소형부터 14,501TEU 이상의 초대형까지 7가지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오니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moverdb.com/ko/top-10-largest-container-ships-in-2022/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세계무역선의 경우 여러 선사를 통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선사들은 필요한 선박을 각 조선기업에 수주를 맡기고 몇년뒤에 완성된 선박을 구매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박을 운영하여 수익을 거두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무역선의 개수는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렵습니다만, 상위 10개 선사의 운영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moverdb.com/ko/%EB%B0%B0%EC%86%A1-%ED%9A%8C%EC%82%AC/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 세계적으로 무역선이 운항하는 항로는 선박이 운항하는 바다길을 말하며, 해양 항로는 육지(연안)보다 해양에 더 인접한 항로를 말하며 연안항로는 연안에 더 인접한 항로를 말합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항로는 유럽과 북해를 잇는 북대서양 항로로 세계 해상 수송량의 2/3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밖에 남대서양 항로, 북태평양 항로, 아시아-유럽항로, 북극항로 등이 있습니다.
    2. 전 세계 주요 컨테이너선 항로

    1) 대서양 항로 : 북대서양, 아프리카, 남아메리카(파나마 운하 경유 포함) 3개 주요항로로 세계 제일의 대항로임.

    ㅇ 북대서양 항로 : 서유럽 ↔ 북아메리카 취항 선박 수, 수송 화물량에서 각각 세계 2/3 이상을 차지, 세계 1위 교통량

    ㅇ 남대서양 항로 : 서유럽 ↔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밀, 육류, 양털 (농축산물)과 유럽의 공업제품이 교역

    ​ 2) 남태평량 항로 : 북대서양, 아프리카, 남아메리카(파나마 운하 경유 포함) 3개 주요항로

    ㅇ 북태평양 항로 : 아시아 ↔ 태평양(경유) ↔ 북아메리카 서안 북방항로, 하와이를 경유하는 남방항로로 또 구분되고, 주요 운송 품목으로 전기,전자제품, 의류, 신발 자동차 등

    ㅇ 남태평양 항로 : 호주 ↔ 태평양(경유) ↔ 북아메리카 서안, 호주의 양털, 철광석, 기계류, 설탕 및 뉴질랜드의 양모, 원피류 수출, 북아메리카에선 기계류, 자동차, 항공기, 철강, 면직물, 정밀기계 등을 호주로 보냄.

    ​3) 아시아, 유럽 항로 : 유럽 ↔ 인도양(경유) ↔ 아시아 동부, 중동 석유를 유럽과 아시아에 수출하는 탱커 경로

    4) 북극항로 : 아시아 ↔ 북극해(경유) ↔ 유럽로 이며,

    ㅇ 북서항로 : 북미 ↔ 캐나다 해역(경유) ↔ 유럽,

    ㅇ 북동항로 : 아시아 ↔ 러시아 해역(경유) ↔ 유럽 항로 등이 있습니다.

    3. 세계 10대 컨테이너 선사중에 우리나라 선사도 세계10대 컨테이너 선사에 포함되어 있으며, 1위인 APM-Maersk(Maersk), 2위 Mediterranean Shg Co(MSC), 3위 CMA CGM는 모두 유럽의 선사로써 전 세계 선박의 45%를 차지할 만큼 전 세계 해운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먼저 APM-Maersk는 덴마크의 선사로서 ‘머스크’라고 불리며 그룹 안에 다양한 분야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중 가장 주력사업은 세계 최고의 컨테이너 선사답게 바로 운송 분야이며, 580여 척의 배가 운항중이며, 연간 약 280만 TEU의 물동량을 처리합니다. 다음으로 2위는 Mediterranean Shg Co로 ‘MSC’라고 불리며 스위스 선사이며, 470여 척의 배가 운항 중이며, 연간 약 243만 TEU의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특히 MSC는 크루즈사로도 세계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3위는 CMA CGM로 프랑스 선사이며 440여 척의 배가 운항 중이며, 연간 약 150만 TEU의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모두 연간 100만 TEU가 넘는 어마어마한 양의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부 자료에 전세계 무역선의 숫자, 그중 가장 대표적인 수단인 컨테이너선의 크기 정보등이 제시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overdb.com/ko/top-10-largest-container-ships-in-2022/

    현대무역의 대부분의 운송은 해상/항공 등 하나의 운송수단으로만 이행되지는 않고 복합운송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복합운송에 대한 주요 경로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PrcafsMnl/chapters/08/verse0204.do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