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2.04

매운음식을 먹을 때 왜 물보다 우유가 더 안맵게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가끔 매운떡볶이를 먹고 쿨피스나 우유를 찾는경우가 종종 있잖아요~ 그런데 매운맛을 중화시키기 위해 왜 물보다 우유가 더 안맵게 느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에 포함된 유지방성분 때문입니다.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은 지용성 물질입니다. 그래서 우유 속 유지방이 캡사이신을 녹여 매운 맛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우유 단백질이 위벽을 코팅하며 속이 진정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산화방지물질인 캡사이신이 활성화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유에는 케이스인이라는 단백질이 캡사이신과 결합하여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물은 캡사이신을 희석시키지만, 우유는 그 외에도 중화 효과가 있어 물보다 효과적으로 느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음식을 먹고 '맵다'라고 느끼는 것은 실제로 미각이 아니라 통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매운 통증을 빠르게 해소하기 위해서는 혀의 열감을 내려야합니다. 따라서 매운 통증을 해소하고자할 때 우유를 많이 마시곤 하는데, 우유에 들어있는 유지방 성분이 매운 음식의 캡사이신과 같은 성분을 녹여줌으로써 매운 맛을 빠르게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식후통증증후군이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운 음식에 함유된 화학물질인 캡사이신이 식도, 위, 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발생합니다. 이 때,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이 덜 느껴지는 이유는 캡사이신이 우유에 함유된 지방 분자에 결합되어 그 영향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 음식에 있는 매운맛은 '통증'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매운 음식의 고추에는 캡사이신이 있는데 캡사이신이 수용체와 결합할 경우 신경에충격을 주게되어 우리의 뇌는 통증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적은 양일지라도 우리의 장기는 통증을 겪게되는데 이러한 성분은 기름에 잘 녹는 성분이므로 지방이 함유되어있는 우유를 마셔야 효과를 볼수있습니다


    →물을 마실 때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물에는 캡사이신을 분해할만한 지방성분이 함유되어있기 않기 때문입니다


    →캡사이신은 지용성이라서 유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를 마시면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을 녹이기 때문에 매운맛을 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매운맛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기름에 잘 녹는 성분이므로 지방이 함유되어 있는 우유를 마셔야 효과를 볼수 있으며, 물에는 지방성분이 함유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맛은 주로 캡사이신이라는 물질에 의해 느껴집니다. 캡사이신은 매운맛을 감지하는 수용체인 TRPV1을 자극하여 매운맛을 느끼게 합니다. 물은 캡사이신을 녹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물로 매운맛을 중화시키려면 캡사이신을 희석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캡사이신은 물보다 기름에 더 잘 녹습니다. 따라서, 우유와 같은 유제품은 캡사이신을 녹여서 매운맛을 중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매운 음식을 먹으면 입안의 맛감각을 담당하는 맛감각 세포가 활성화되고 이 세포들은 매운 맛을 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매운 맛은 카피사이신이라는 화학물질로 인해 느껴지는 것입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대부분 물과 함께 섭취됩니다. 그리고 물은 중성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맛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우유는 물과는 달리 약간 산성성을 띠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운 맛을 중화시키는 데 물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우유에는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서 매운 맛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하지만 이게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매운 맛에 대한 감수성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운 떡볶이를 먹을 때 쿨피스나 우유를 찾는 것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유는 매운 맛을 완화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쿨피스나 우유를 함께 먹는 것은 매우 현명한 선택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운 맛을 완화시키고 입안의 불편한 느낌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쿨피스나 우유를 함께 먹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매운 떡볶이를 먹을 때 쿨피스나 우유를 찾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제부터는 매운 떡볶이를 먹을 때 쿨피스나 우유를 함께 즐기시면 더 맛있게 느껴지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에 들어있는 단백질이 캡사이신과 결합하여 매운맛을 억제합니다. 캡사이신은 매운맛을 내는 주성분으로, 단백질과 결합하면 캡사이신의 화학적 구조가 변하여 매운맛을 느끼는 신경 세포에 전달되는 신호가 감소하게 됩니다.그리고 우유의 지방이 캡사이신의 자극을 완화합니다. 지방은 캡사이신의 용해도를 높이고, 캡사이신이 입안 점막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매운맛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 음식에는 캡사이신 성분이 있습니다. 이성분이 혀에 남아서 매운맛이 계속 사람을 고통스럽게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캡사이신도 결국 친유성 성분으로 친수성인 물에는 녹지 않아서 매운음식을 먹고 물을 마셔도 고통이 사라지지 않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유를 마시면 우유속에 있는 지용성인 지질단백질이 캡사이신을 녹여서 같이 흘러가면서 그래서 맵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은 지용성 물질로 지방에 잘 녹는데요. 우유 속에 있는 유지방이 캡사이신을 녹여서 입안에 남은 통각을 제거해주는 것이죠. 하지만 이미 우유의 유지방이 통각 제거 효과가 있다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었는데요.

    무지방 우유도 일반 우유만큼 효과가 좋다는 것이죠. 유지방보다도 우유 속 단백질 성분이 매운맛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된 것인데요. 단백질이 혀에 남아있는 매운 성분을 분해하고 씻어냅니다. 즉, 오히려 지방보다 지질단백질의 유무가 더 의미 있게 작용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