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입장에서 생각한다는건 어떤건가요?
아이 입장에서 생각을 하라는 건 어떤걸 말하는 걸까요? 입장을 바꿔서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며 아이를 이해하라는 말로 이해해도 될까요? 아이 입장에서 생각을 한다고 해서 이게 100퍼센트 달 들어맞는거 아닌거 같아서요
아이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의 시선과 감정 발달, 수준에서 세상을 바라보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발달 단계 이해, 비판보다 경청, 눈높이 맞추기 등입니다.
아이의 자존감과 신뢰를 키우고, 부모와의 관계도 훨씬 깊어지게 해줍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것은 아이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고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바라보려는 노력을 말해요. 예를 들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왜 그런지 아이가 어떻게 느낄지를 생각하는 것이죠.
하지만 그게 항상 아이가 원하는 대로만 하는 것은 아니고 아이에게 필요한 규칙이나 지도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는 게 핵심이에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라는 의미는
예를 들어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무조건적으로 혼을 내긴 보담도
먼저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왜 이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을지 그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면서
아이가 이래서 이러한 행동을 하였겠구나 라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 하려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 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의 대한 부분을 이해 하였다면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며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 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아이에게 전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입장이란것은 눈높이에서 이해하라는겁니다.
다 맞는게 아니라고해도 아이는 부모가 그렇게 생각하는 마음을 알수있어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속상하고 마음이 않 좋을 때는 그 감정을 추측하고 이해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말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기 보다는 그 상황을 보고 아이의 발달 수준에 고려하여 생각해 보는 것 입니다.
100% 정답은 없구요,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맞습니다. 아이입장에서 생각하라는 말은 단순히 아이의 행동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그 행동 뒤에 있는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려 노력하라는 뜻입니다.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왜 그런 행동을 했을지 추측하고, 그 마음을 공감하려는 태도가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