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미국 제조업 생산 증가에도 고관세 부담이 크다는데 무역 영향 클까요

8월에 제조업 생산이 조금 늘었다고는 하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고관세로 힘들다고 하네요. 이런 상황이면 수출입 흐름에도 부담이 이어질 수 있는 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 제조업 생산이 늘었다는 건 수요가 살아 있다는 신호지만 고관세 부담은 여전히 기업의 숨통을 조이는 요소입니다. 특히 원자재나 부품을 해외에서 들여와야 하는 제조업체라면 비용 상승이 곧바로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수출 가격을 올리기도 어렵고 마진을 줄여서 버티기도 힘들어집니다. 수입 쪽에서는 고관세로 인해 거래선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조달 다변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큽니다.생산 수치가 잠깐 좋아도 무역 흐름 전반에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서 기업들이 투자나 신규 계약에 신중해지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 제조업 생산이 늘었다 해도 고관세가 유지되면 원자재나 부품 수입 비용이 높아져 제조업체들의 체감 부담은 그대로 남습니다. 이런 비용 압박은 생산 단가를 끌어올리고 결국 제품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수출 흐름에도 제약이 생깁니다. 또 해외 기업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 진입 비용이 높아져 교역이 위축될 수 있고, 글로벌 공급망에서도 우회 수입이나 생산 이전 같은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 제조업의 생산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 기업, 수출기업들에 대한 관세부담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제조업의 증가가 이루어져도 이에 대한 원자재의 조달은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며, 고관세로 인한 생산원가증가나 투자지연이 계속되면서 수출입흐름이나 글로벌 공급망 부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잘못되었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기업들이 틀어막고 있기에 겨우 버티고 있는 것이지만 결국에는 큰 인플레이션의 쓰나미로 이어질 것이며 경기침체에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도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