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친절한멋돼지238
친절한멋돼지238
24.03.29

하관 한 쪽이 잘 안 움직여서 고민입니다

나이
2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없음

오른쪽 하관 전체의 근육이 잘 안 움직이는 느낌을 받아요

일단 웃을때 억지로 입꼬리를 위로 올리려고 하면 잘 안 올라가고 심지어 파르르르 떨려요

그리고 윗 입술을 바늘로 잡아댕기는거 같은 표정을 할때(우쒸 이런 표정)

왼쪽은 잘 되는데 오른쪽은 아예 안돼요

아랫입술,턱도 잘 안되네요 턱을 까닥해서 잡아당기는게 오른쪽으로는 안돼요

왼쪽이 하관 쓰기가 편하고 자유롭다는 느낌이 드는데 오른쪽은 어딘가 좀 불편하고 굳어있는 느낌이 들고요 확실히 더 찢어지게 웃으려고 하면 그만큼 힘을 줘야돼요

생각해보니 이때까지 다채로운 표정을 왼쪽으로만 썼던거 같기도해요 (썩소라던가 웃는거라던가)

그래서 약간의 비대칭도 있고요 입꼬리도 살짝 내려간게 환하게 웃으면 확실히 입모양이 찌그러져 있어요 입도 많이 안 찢어지고?늘어나고?요

팔자주름도 웃으면 왼쪽은 팔자주름이 둥그렇게 예쁘게 이어져 있는데 오른쪽은 뭔가 밑으로 축 저진 느낌? 입꼬리가 안 늘어나고 팔자주름 생김새도 그러니까 웃을때 어색해요

참고로 검색해보니까 근육 경련하니까 피곤하고 술 마셔서 라고 전부 답장 주시던데 평소 술 잘 안마십니다. 그리고 가만히 있을땐 안 그래요

1. 왜 그런건가요?

2. 해결방법이 있나요?

3. 이런경우엔 성형외과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하나요?

4. 근육을 잘 안써서 굳은거라면 근육을 써주면 좀 풀리나요?

5. 어떻게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유민혁 의사blue-check
    유민혁 의사
    차움건진센터
    24.03.30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저하되고 비대칭이 나타나는 증상은 안면마비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안면마비는 안면신경의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감염, 외상, 종양, 대사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측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양측성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면마비의 초기에는 근육 경련이나 통증이 동반될 수 있고, 이후 근력 약화와 마비 증상이 진행됩니다. 입술 움직임의 제한, 눈 감기 어려움, 이마 주름 형성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안면마비의 원인을 감별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약물 치료, 물리치료, 수술적 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조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신경계 문제, 근육의 경직 또는 손상, 그리고 얼굴의 비대칭 발달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관 근육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으로는 신경 손상, 벨 파르시(얼굴 마비의 일종), 근육의 통증이나 경련, 스트레스 또는 특정 생활 습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대칭 문제는 종종 장기간 동안 한쪽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신경 문제가 원인일 경우 신경과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으며, 근육의 문제라면 물리 치료나 특정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얼굴의 근육 문제나 비대칭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서는 신경과에서 기본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성형외과나 치과 교정과 등의 전문가의 추가적인 상담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근육이 굳었다면, 규칙적인 운동과 마사지를 통해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얼굴 근육 운동(Facial Exercises)은 근육의 균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원인과 최적의 치료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 전문적인 평가와 조언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휴식,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