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국가중에서 원조를 받다가 원조를 해준 국가는 한국말고 다른 국가도 있나요
한국은 특이하게 OECD국가에게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이제는 원조를 해주는 국가로 위치가 바뀌었는데요 이런 국가가 한국말고도 잇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한국은 OECD국가 중에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해주는 나라로 바뀐 유일한 국가입니다.
이러한 독특한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은 2009년 11월입니다. 당시 한국은 OECD의 3대 위원회 중 하나인 개발원조위원회에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했습니다.
OECD는 이례적으로 한국의 DAC가입을 승인하면서 개발원조위원회 역사상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지위가 전환된 첫 번째 국가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이 불과 반세기 만에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던 나라에서 다른 나라를 돕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음을 의미하며 국제사회에서도 매우 특별하고 성공적인 발전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처럼 도움을 받다가 주는 쪽으로 넘어간 사례가 몇 나라에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리스나 포르투갈이 있습니다. 전쟁이나 경제위기 때 국제사회로부터 원조를 받았지만 이후 경제가 회복되면서 공여국이 됐습니다. 스페인도 과거에는 상당한 원조를 받았지만 지금은 지원하는 쪽에 서 있습니다. 아일랜드 역시 비슷한 과정을 거쳤습니다.
다만 이들 국가의 경우 경제 구조와 회복 속도가 달랐고 원조 규모나 시기도 차이가 큽니다. 그래서 단순히 한국과 같은 궤적이라고 하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외에도 다른 나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튀르키예, 폴란드, 칠레가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외에도 체크, 폴란ㄷ,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이나, 에스토니아 등 중동부 유럽 다수가 냉전 종식 후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했습니다. 스페인, 포르투갈, 아일랜드처럼 과저 원주 수혜를 받다가 공여한 사례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처럼 원조를 받다가 세계은행 기준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한 국가의 사례를 매우 드물며, OECD 선진 공여국 중에선 한국이 공식적으로 그런 전환을 한 첫 번째, 유일한 국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과거 유럽 국가들도 전후 원조를 받은 경험은 있으나, OECD 기준에서 완전한 형태로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사례는 한국이 유일하다는 평가가 주류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OECD 국가 중에서 원조를 받다가 원조를 해준 국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런 나라는 현재 우리나라 대한민국 밖에 없습니다.
유일하게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편입한 나라 역시 한국 외에는 없기에
자랑스럽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우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탈바꿈한 성공사례라고 볼 수 잇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의 경우 21C에 원조를 해주는 나라로 공식 선언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조를 받았지만, 원조를 해주는 등의 성공적인 변화사례가 거의 없고, 독재자 등의 잘모된 정책이나 반란 등으로 인한 국가의 황폐화 등이 주요한 이유로 선진국 반열에 들지못하고 후진국으로 하락한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OECD국가중에서 지금까지 원조를 받다가 이후 원조를 해주는 국가로 된 국가는 오직 한국 밖에 없습니다 즉 한국처럼 완전히 최빈국에서 거의 선진국반열까지 오른 기업은 한국만이 유일하며 어떤 국가도 없는 유일한 사례의 국가로 보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