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미국이 한국 화장품에 관세를 부과한다는데 사실일까요?

최근 미국 정부가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하려는 방침을 내놨다는 기사를 봐씁니다. 이조치를 취할경우 우리나라 화장품 뷰티업계에 직격탄이 될까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이 한국 화장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이렇게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수출 업계에 직격탄이 되어 돌아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화장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단기적으로 수출에 타격이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중저가 제품 위주 시장이 위축됩니다.

    한미 협상과 현지생산 확대가 현실적인 대응책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가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 15프로 관세를 부과하는건 거의 기본관세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도 10프로 관세를 내고 있고 현재 논의는 제가 알기로는 10프로에 추가로 25프로 정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인걸로 기사를 봤습니다

    미국이 대단한 나라긴 하지만 k뷰티도 막강하고 미국에만 의존하지 않는 상황이고 미국에도 이 정도 관세면 경쟁력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미 수출 시 한국 화장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기존 10%에서 최근 15%로 인상되었습니다. FTA 체제 하에서는 무관세였으나 금번 상호관세 부과도 관세율이 15% 증가했습니다. 한국산 화장품에만 15% 관세가 부과되는 것은 아니어서 수출 가격 경쟁 측면에서는 이론적으로 문제가 없으나 수입 업자들이 관세 부담을 수출 업체에 대부분 떠 넘기고 있어서 원가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입 업자가 관세를 부담할 경우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매출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현재도 우리나라 많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화장품도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 우리나라 화장품 업계에 타격이 있겠지만 싼맛에 우리나라 제품을 소비한 것이 아니기에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 트럼프 정치가 끝났을 때 까지 놓고 본다면 지금의 가격 변동에도 꾸준한 매출을 발생시키는

      제품에 투자를 하는 것이 앞으로 맞는 투자 흐름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화장품만아니라 한국의 사실상 모든 제품은 미국에 수출시 상호관세 15프로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25프로 상호관세에서 8월 협상으로 10프로를 낮춘것이며 이에 화장품만 아니라 라면이든 모든 소비재가 자본재가 미국으로 수출을 해서 관세청 통관시 관세 15프로가 일률적으로 부과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의 화장품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는 결과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수출 기업의 수익성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내 한국산 화장품의 선호와 경쟁력으로 인하여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있으나, 향후 생산과 수출 다변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