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지9를 지켜라
지9를 지켜라
23.04.27

보험료는 월급의 몇 퍼센트를 지출하는게 적당할까요?

저는 직장 생활을 하는 급여생활자입니다. 아는 보험설계자 분들이 보험 가입을 권유합니다. 보험료 지출이 적지 않아거절할 방법을 찾습니다. 보험료 지출이 급여의 몇 퍼센트가 적당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4.27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거절 하는 방법은 본인 거절의사를 확고하게 표명하는 방법 뿐입니다.

    어영부영 했다간 혹해서 나도 모르게 청약서에 사인 하고 있을겁니다.

    본인 소득에 대비해 10%정도만 보험에 투자하면 적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재경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 가입자들의 평균을 보면 수입의 3~8% 수준의 보험료 납입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수입의 금액과 지출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일정하게 정할 수는 없는 부분이지만 분명한 것은 유지가 가능한 수준으로 가입을 해야하는 것입니다. 타이트하게 가입했다가 해지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진 손해사정사입니다.

    1. 적정한 보험료의 경우 개인의 성향과 경제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월급여의 5~10%가 적당합니다.

    2. 장기간 보험료 납입을 하기에 무리하게 보험 가입하는 경우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간 유지가 가능한 수준의 보험료 인지 먼저 체크하고, 추가로 보험가입하시는게 좋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신현수 손해사정사입니다.


    통상적으로 보험을 운영할 때 월 수입의 10~15프로 정도 수준의 금액 선에서 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지출은 자신 또는 가족의 총 소득에 10%내외로 가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좀 니즈가 강하다면 15% 정도까지..

    어쨌든 보험료가 많이 나가 부담이 된다면 유지하기 힘들수도 있기 때문에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선 보험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처한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보통 재무설계 전문가들은 월평균 소득의 10% 정도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지나치게 보험료 지출이 많으면 저축이나 연금 준비가 힘들어집니다. 그리고 보험이 너무 없다면 위험이 발생했을 때 경제적 타격이 심하겠죠. 자산관리를 위해 가입하는 보험이니 만큼 10%정도 책정하고 그 보험료 수준에서 최적의 설계를 하는 것이 진정한 보험설계사들의 역량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경청하고 공감하는 보험전문가 조형선

  • 안녕하세요. 김진석 보험전문가입니다

    귀하의질문에대한답변입니다

    살아가면서 보험이란 우연하고갑작 스럽게 찿아오는질병또는상해사고에 대비하여 가입합니다

    대부분 보험가입에잇어 보험료는월급에 10%내에서 가입하시면 되시겟습니다

    실손보험은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여유가되신다면 성인병질환 노혈관진단 또는심혈관 암진단금 및수술비담보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월급의 몇 퍼센트 기준이 아닌
    본인이 부담스럽지 않는 월 보험료이면서 적당하게 보험 가입을 하는걸 권장드립니다.

    보험이 만능도 아닐뿐더러
    만능에 가깝게 가입하려고 한다면
    보험료만 상당히 비싸지게 되고
    그로인해 이득이 될 확률보다 손해를 볼 확률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돈이 없을때 치료비 걱정을 대비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생기지 않는 다면 보험사에게만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연봉이 1억인 사람과 연봉 3천인사람에게 몇프로를 하는 지는 중요하지않습니다

    보험상품은 다 좋습니다

    다만 가장 적은 돈으로 큰 위험에 대비하는 암진단비 화재보험 같은게 우선됩니다

  • 안녕하세요 ?

    신한금융그룹 계열 신금플GA 근무하는 19년차 보험인 성영진지점장 입니다.

    복사 후 붙여넣기 아닌 직접 수기로 답변을 수기로 작성중 입니다.

    정해진 바는 없지만,

    예를 들어 월 급여 5~10% 라고 하면 오차 범위가 커집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100만원이면 5~10만원이고,

    월급이 1천만원이면 50~100만원이며,

    월급이 1억원이면 500~1,000만원이 되니까요 ^^

    보장성보험으로만 따지면,

    질병보장보험 과 운전자보험 등으로 구성된 보험으로

    15~20만원 정도가 적당하고 보구요.

    가족력이 있거나 확실한 분이라면, 좀 더 보장을 많이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여기에는 저축성, 연금성 보험은 제외 입니다.

    ---------------------------------------------------------------

    더 궁금하신 점은 제 프로필을 보시고 문의주세요.

  • 안녕하세요. 장창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 지출이 걱정이시라면
    선생님께서 향후 20년간 유지하실 수 있는
    만큼의 보험을 드시면 됩니다

    보험은 미래를 대비하는것이고
    평생 가지고 가는 상품입니다

    신중하게 필요한 보장들로만 구성해서
    저렴하게 가져가는게 가장 좋아요

    상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 카카오톡 ID : guchil_97

    ✅ 오픈채팅 : https://open.kakao.com/o/sbpTQq8e

  • 안녕하세요. 노진환 보험전문가입니다.

    이미 보험료 지출이 적지 않다고 하셨는데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면 가입보다 보험점검이 우선적으로 필요하실듯 합니다.

    고객님의 질문의 보험료 지출은 급여의 몇퍼센트가 적당하신지에 대한 대답은 10~15% 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보험은 본인의 경제에 맞게 부담없이 유지할 수 있고, 질병이나 사고시 지급이 편하게 이루어져야 좋은 보험입니다.

    무료로 보험점검 해드리니 고객님의 이번에 싸악 점검 받아보시고 제대로된 보험준비 하실 수 있는 기회 얻어가세요.

    고객님 상황에따라 맞춤설계 도아드리겠습니다!

    솔직하고 강요없이 거품없는 보험설계사 노진환팀장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의 경우는 소득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10%내외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10%가 넘을 경우는 보험 리모델링 등을 통해 효율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