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는 국내통화가치와 무슨 관련이 있나요?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가 있다는데요. 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는 국내통화가치가 낮으면 증가한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자산에 대한 외국인 수요는 원화 가치가 낮을 때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국내 주식·채권 등을 매입할 수 있기 때문에 증가할 수 있습니다.
즉, 외국인 입장에서는 싸게 들어와 향후 환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어 원화 약세는 자산 매수 유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때 외국인이 국내 자산을 사려면 원화를 구매해야 하므로 수요 증가 → 원화 가치 상승 압력으로 이어집니다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는 국내통화가치와 무슨 관련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통화가치가 낮아지면 통화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국내 자산매수가 늘어나기에 수요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통화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원화가치가 하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물자산을 보유하여 헷징하고자하기 때문에 국내자산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통화가치가 낮다는 것은 외국인 투자자 기준으로 1달러 당 환전 가능한 원화 양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외국인 투자자 기준에서 환율이 상승하면 특정 기업의 주가가 그대로라고 하더라도 달러 환산 시에 더 낮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 기준에서는 시가가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 국내 투자를 더 많이 하려고 해서 국내 통화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자산이 싸지게 되면 외국인 입장에서는 국내 주식, 부동산 등이 싸게 느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들이 자산을 사기 위해 원화를 구매하게 되며 이는 원화 수요로 이어져
통화가치의 상승 압력으로 작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시를 두고 보면 제가 외국인 투자자라면 1달러로 환전 했을때 1달러당 1300원 할때보다는 1달러당 1500원 할때 투자를 하고 싶을거라 생각합니다 어찌보면 당연한거죠
1달러당 1500원에 환전해서 국내 증시 투자하고 좀 수익이나거나 약간 손실이라도 1달러당 1300원할때 환전하면 환차익으로 수익이 배가 되거나 손실을 커버할수 있으니 원화 가치가 낮을때 투자하는게 진리는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는 국내 통화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하고, 수요가 감소하면 국내 통화 가치가 하락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 채권, 부동산 등 국내 자산에 투자하기 위해 국내 통화를 매수하면서 국내 통화 수요가 증가합니다. 국내 통화 수요 증가는 국내 통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자산을 매도하고 투자금을 회수하면서 국내 통화를 매도하여 국내 통화 수요가 감소합니다. 국내 통화 수요 감소는 국내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국내 통화 가치 하락은 국내 자산의 달러 표시 가격을 낮춰 외국인 투자자들의 가격 경쟁력을 높입니다. 즉, 이전보다 적은 달러로 더 많은 국내 자산을 매수할 수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자산에 대해서 수요가 증가한다는것은 기본적으로 원화수요가 증가한다는 말입니다 원화표기자산이라는 말이고 이를 달리 해석하면 원화가치가 낮으면 상대적 매력도로 이론상 수요가 증가할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에서는 오히려 원화가 강세일때 외국인 투자수요가 증가하는 즉 원화 평가자산이 지속 상승한다는 신뢰성이 생겨야 오르는 현상이 실증에서는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외국인들 입장에서 원화가치가 낮을때 국내주식 시장에 투자를 해 놓으면 원화가치 상승에 따른 이익을 추가로 얻을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주식에 투자할 때 되도록 달러가치가 낮을때 투자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 자산과 통화 가치는 상대적이라서 투자금이 어느 한쪽에 몰린 다는 것은 나머지 한쪽이 투자할 가치가 낮다는 것인데요. 이 때문에 국내 자산에 대한 수요는 통화 가치가 낮을수록 상승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