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밀그램 실험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밀그램 실험은 권위자의 지시에 따라 일반인이 비윤리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데요 이 실험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밀그램 실험은 사람들이 권위자의 명령에 어느 정도까지 복종하는지를 보여주는 심리학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평범한 사람들도 권위자의 지시에 따라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도 우리는 학교, 회사, 정부 등 다양한 조직 속에서 명령이나 규칙을 따르며 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판단 보다 상부 또는 권위를 가진 존재, 조직의 지시에 더 쉽게 따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밀그램 실험은 우리에게 단순히 지시에 따르기 보다는 그 행동이 옳은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1961년 예일대 심리학과 스탠리 밀그램이 실시한,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이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파괴적인 권위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명제를 제시하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라도 윤리적, 도덕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실험자는 선생 역할의 피실험자에게는 학생에게 테스트할 문제를, 학생 역할의 배우에게는 암기할 단어를 제시하고 선생에게 학생들을 테스트한 후 학생이 문제를 틀릴 때마다 15볼트부터 시작하여 450볼트까지 한번에 15볼트 씩의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하였습니다. 그가 살피고자 했던 것은 선생들이 전압을 높여가는 과정에서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였습니다. 사실 학생 역할은 배우였고, 전기충격도 가짜였다고 합니다.

    밀그램은 0.1% 정도의 사람들이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예상과는 달리 65%의 피실험자가 450볼트까지 전압을 올렸고 이 실험은 1971년 필립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밀그램의 실험은 피실험자들에게 심리적 외상을 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미리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윤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대학에서 해임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후 비슷한 형태의 실험에서도 진행되었고, 실험윤리강령을 준수하도록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 사회압력이 주는 영향력을 증명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현대사회의 군중심리학, 권위에 대한 복종, 악의 평범성, 루시퍼 이펙트 등의 심리학적인 연구에 기여하며, 파괴적인 권위, 권력에 복종하는 인간의 나약함이 그 성격이 아닌 상황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의 정치적 권력에의 무조건적인 복종, 그릇된 신념의 맹종 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밀그램의 실험이 재조명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나 대한민국에서 최근 탄핵, 계엄, 탄핵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사실상 국민과의 대립이 아닌 정치권 양당의 대립이 그들을 지지하는 세력의 대립으로 확산됨에 있어서 권력자의 생각과 방향에 따라 지지세력들의 생각도 따라가는 양극화를 보여줌에 따라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