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중국이나 다른 국가에서 러브버그 천적이 무엇인가요

한국은 러브버그 천적도 없는데요 그렇다면 중국이나 다른국가에서는 이 러브버그 천적관 관련된 동물이나 곤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외에서도 러브버그의 명확한 천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러브버그 성충의 몸에서 분비되는 산성 물질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충과 달리 유충은 새나 거미, 곤충 등에게 먹이가 되기도 합니다.

  • 러브버그는 원산지인 북미 및 중미 지역에 다양한 천적이 존재합니다. 성충은 특유의 산성 맛 때문에 대부분의 포식자가 기피하지만, 거미, 잠자리, 사마귀, 일부 조류는 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충은 주로 썩은 낙엽이 쌓인 흙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새, 포식성 딱정벌레의 유충, 집게벌레 등이 주요 포식자로 작용합니다. 중국이나 한국과 같이 새롭게 유입된 지역에서는 이러한 천적 관계가 아직 형성되지 않아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러브버그(Lovebug, 학명: Plecia nearctica)는 주로 미국 남부 지역, 특히 플로리다, 텍사스, 루이지애나 등지에 많이 분포하는 파리목 곤충인데요, 한국에서는 토착종이 아니며, 최근 들어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 관찰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짝짓기 중에도 서로 붙어 다니는 특성 때문에 ‘러브버그’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성충은 단명하며, 주로 번식기(연 2회, 봄·가을)에 대량으로 나타납니다. 유충은 부식된 식물성 유기물을 먹으며, 생태계 정화 역할도 합니다. 이러한 러브버그는 원래 중남미(중앙아메리카) 원산이며, 미국 플로리다 지역에 1940~50년대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미국에서도 초기에는 천적이 거의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몇몇 포식자들이 나타났습니다. 주요 천적으로는 조류가 있으며 참새, 제비 등이 러브버그 성충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이외의 지역의 경우에 러브버그는 비토착종이라서 아직 생태계가 그 존재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인데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보고된 사례가 많지 않아 자연 천적이 거의 없거나 미확인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중국 등에서 참새, 꾀꼬리 같은 새, 거미, 사마귀, 무당벌레, 방패벌레류, 잠자리류 드잉 천적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의 주요 천적은 거미, 개미, 새, 개구리, 도마뱀, 사마귀류나 포식성 딱정벌레 같은 곤충들로 미국, 중국, 한국 등지 모두 특별히 러브버그만을 집중적으로 잡아먹어 개체수를 조절하는 전용 천적은 없습니다. 일반적인 포식자들이 일부 섭식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한국처럼 중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도 러브버그의 번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