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소탈한쭈꾸미284
소탈한쭈꾸미284
22.03.29

역류성 식도염 목 이물감 궁금증

나이
3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역류성 식도염약
기저질환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데요

다른 증상은 없고 목 이물감만 있습니다

제가 남잔데 목젖 밑으로 내려가면 움푹 파진 부분

쇄골 사이 라고 해야될까요

암튼 약으로 소화성궤양용제 위장운동촉진제

위산과다증약이 있는데요

위산과다증약은 빼고 먹어도 될까요

속쓰림 같은 거 없고 기침도 없어서요

그리고 증상 약간 나아지면 약을 임의로 끊어도 될까요

아니면 의사 선생님이 그만 먹으라 할때까지 먹어야 되나요

그리고 일주일정도 약을 끊었었는데

오늘 다시 남은거 먹었는데 이물감이 더 드는건 기분탓일까요

그리고 제가 어제 과식후 구토를 조금했는데 그뒤로 조금만 먹어도 더부룩하고 복부팽만 되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명규 내과 전문의blue-check
    이명규 내과 전문의
    연세이명규내과의원
    22.03.31

    안녕하세요.

    과식으로 구토를 한 경우, 식도나 위에 일시적으로 경련이나 긴장을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식사를 할 때 소화가 더딘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따뜻한 물이나 차를

    드시고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는 많이 드시지 않거나 혹은 죽만 드시기도 합니다.

    구역을 하는 경우, 목에 이물감도 같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역류식도염은 꾸준히 복용해서 관리하는 질환입니다. 중단하시면 증상이 재발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증상은 위산이 느슨해진 하부식도괄약근을 역류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속쓰림이나 기침 증상이 없더라도 위산을 억제해주어야 역류성 식도염의 악화를 막을 수 있으며 임의로 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에는 고혈압이나 당뇨 처럼 꾸준하게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증상이 호전되는 것 같아서 약을 임의로 중단한다면 증상이 심화될수 있기에 가능하다면 정기적으로 진료를 보면서 약을 조절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3.31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위식도역류질환은 치료에 수주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임의의 약물조절 및 약물중단은 충분한 치료를 기대하기 어려워 권유드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식도염에 걸리면

    식도쪽에 격통

    가슴통증

    출혈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은..

    당뇨등의 전신질환이 있을때 나타날 수 있으며, 구토하는 습관이 있을시, 위산역류에 의해 식도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의 치료

    식사후 바로 눕는 습관을 교정하셔야합니다.

    금연을 하셔야합니다.

    커피, 초콜릿, 오렌지주스 등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셔야합니다.

    감염에 의한 식도염의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은 증상은 타오르는 듯한 가슴통증입니다. 이외에 소화불량, 목 이물감 등이 있습니다. 위험인자로는 음식 복용후 바로 눕는 습관, 과식, 흡연, 음주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내과 방문하셔서 내시경 검사, 약물치료 함께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위식도역류로 인해 위산이 자꾸 인두 점막에 손상을 일으키면서 불편감이 생기시는것 같습니다. 어제 구토를 하면서 인두 점막이 또 자극을 받았구요. 위산 억제제가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기능도 하지만 위와 식도 사이의 괄약근을 쪼여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속쓰림이 없더라도 복용하시는게 맞습니다. 내과 선생님이 그만 먹자고 하실때까지 복용하시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증상이 좋아지면 약물치료를 중단하기도 합니다.

    다만 위내시경 검사에서 식도에 미란 등의 상처가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4-8주를 채워서 약물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이물감은 대개 가스가 차면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피나 초콜렛, 스트레스, 빈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구요.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마시거나 껌 등으로 입에 침이 고이면 증상이 가라 앉는 경우도 많습니다.

    식도염 약을 오래 드시면 가스 차는 증상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엔 다니는 병원 원장님과 상의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에 있어서 위산 분비 억제는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속쓰림이 없어도 위산 분비 억제제는 꼭 드셔야 합니다. 오늘부터라도 다시 드시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역류성 식도염은 1~2달 정도는 약을 드셔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