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신용평가기관은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것인가요?
우리나라의 신용평가기관은 2곳모두 정부기관이 아니라 민간기관이라고 하던데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신용평가기관은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신용평가기관은 3군데로 KIS, KAP, NICE 입니다
전부 민간평가회사가 맞구요 수익을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보통 회사채 발행하는 기업들의 신용등급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럼 2025년에도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국내 신용평가기관은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기업어음 등의 신용등급을 평가하고, 그 대가로 받는 수수료가 수익의 원천입니다.
신용평가기관은 평가 대상의 규모와 성격에 따라 수수료를 다르게 책정하며, 평가 결과는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용등급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있습니다.
기업이나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신용평가를 통해 자신의 신용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자금 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신용평가를 참고하여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신용평가기관은 민간 기업으로서, 주로 채권 발행사나 금융상품 발행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러한 수익 모델은 발행자가 평가를 의뢰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발행자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어,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행자가 여러 평가사 중 자신에게 유리한 등급을 부여하는 곳을 선택하는 '등급 쇼핑이나, 평가사들이 경쟁적으로 높은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 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신용평가산업의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신용평가사의 수익 모델을 다양화하거나, 공적 기구를 통해 평가를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용평가사들의 풀(pool)을 구성하고 별도의 공적 기구를 통해 일정 범위의 금융상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신용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여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