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2.20

우리나라 자동차는 왜 해외에서 더 저렴한가요?

우리나라 자동차는 왜 해외에서 더 저렴한가요?

수출을 하게 되면 기타 다른 비용도 들어갈텐데

외제차와 다르게 국산차는 왜 해외에서 더 싸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해외로 수출될 때 가격이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격보다 저렴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생산원가의 차이 : 우리나라는 원자재를 해외에서 수입하여 국내 원자재와 같이 조립 제작하는 경우 가 많습니다. 이 경우 해외 수입하는 원부자재를 수입하기 위해 구매 금액, 운송비, 통관비 인증 요건 등의 추가 금액이 소요되고 이 금액이 다시 완제품 가전의 최종 판매가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런데 해외 자체 공장에서 원부자재를 구매 생산하는 경우 해당 국가에서 바로 판매하게 되면 배송비와 수입통관 등의 제반비용이 추가 되지 않아 완제품의 가격이 국내 제작보다 저렴하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시장규모의 차이 : 해외 중국 미국 캐나다 EU 등 의 국가의 수요가 우리나라 내수시장보다는 크기 때문에 수요에서 오는 가격 경쟁력이 해외 시장이 더 클수 밖에 없습니다.

    환율 변동: 해외 수출을 하면 해당 국가의 화폐로 수입이 발생하므로 환율 변동에 따라 수입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환율 등 외부적인 요인들이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세금: 국내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가격은 국내 세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 수출 시에는 해당 국가의 세금이 적용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국내소비세보다 낮은 세율이 적용된다면 국내 판매 가격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해외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경쟁력: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하면 가격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해외 시장에서 경쟁을 위해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에서 가격을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생산 비용: 자동차 생산 비용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대량 생산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해외 수출 시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사유로 해외 직구물품이 국내 내수용 제품보다 저렴할 수 있으나 국내 내수시장을 위한 AS 등의 부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제품 시장을 지키는 노력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주요한 원인으로 생산원가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에서 판매되는 우리나라 자동차를 예시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내수용 제품은 모두 국내 사업장(울산, 전주, 광주 등)에서 생산되지만,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는 대부분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 생산기지(ex. 멕시코)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산 원가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것보다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 최대 규모 시장이기 때문에 판매량이 국내보다 많고, 이로 인해 고정비가 낮아져 (규모의 경제 발생) 생산 원가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것보다 낮아질 수 있습니다.

    상기 사유로 인해 판매가격이 국내보다 저렴해도 마진이 동일하거나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문의하신 내용과 반대로 불과 10년 전만 해도 현대차·기아는 국내에서 비싸게 팔아 이윤을 많이 남기고 국외에서 저렴하게 팔았으나 최근 상품성이 개선되고 브랜드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해외 가격이 비싸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시장에서 모두 판매하는 현대차·기아 13개 차종의 최저 판매 가격을 분석한 결과 미국 시장 가격(달러당 원화값 1388원 기준)이 최저 10%에서 최고 54%까지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품질이 개선되고 브랜드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아이오닉5가 올해 뉴욕 오토쇼에서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현대차·기아는 아이오닉5와 EV6로 상반기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점유율 2위에 올라선 바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 자동차 기업 내부에서도 더 이상 박리다매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가성비 차량을 싸게 판매하기 보다경쟁력 있고 퀄리티 높은 차를 만들어 제값을 받고 판매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예전에는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를 내수 판매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하였고, 박리다매 전략으로 적당한 품질의 차량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것이 현대·기아차의 주요 전략이였습니다. 해외에서 더 저렴하게 판매된 부분에는 이러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유튜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jazaLHhtt0

    다만, 최근에는 일부 차종의 경우 미국에서 더 비싸게 팔리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현대·기아차의 해외 시장 침투 전략이 변경되고, 차량 품질이 예전에 비해 높아져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0458586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해외에서 한국차가 저렴하다고 하는 것은 오해입니다. 한국의 판매가와 해외 판매가는 거의 유사하며, 다만 수출하는 현대, 기아차가 일반적으로 타 자동차 브랜드(도요타, 폭스바겐 등)대비 저렴하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이 생긴것입니다.

    아울러, 해외에서 더 저렴하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법인세법에 따라 법인세 탈루혐의로 의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서라도 대부분 국내와 거의 유사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무상 이를 이전가격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외시장사정상 낮은 단가로 팔아야되는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도 있으며, 현재 중국내 전기차 치킨게임같은 상황이 이러한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내의 브랜드인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 등 자동차의 가격이 해외에서 더 싸다고 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는 결국 규모의 경제에 관한 부분이라고 회사측에서는 설명합니다.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큰 (예를들어) 북미시장은 싸게 팔아도 그만큼 많이 판매할 수 있으니 수익적으로 보면 더 큰 수익을 남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자동차시장에 비해 훨씬 더 경쟁이 치열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생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