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집을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독 우리나라에는 반지하 집이 많이 있는데 그것 때문에 비가 많이 와서 홍수가 나거나 하면 피해를 많이 보잖아요. 이런 반지하 집을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6.25전쟁이후 반공호개념으로 만들었는데 어느날부터 임대를 주다보니 전월세로 자리를 잡기시작 했습니다
주로 다가구에 반지하가 있고 다세대부터는 반지하가 없습니다
앞으로는 없어질거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반지하의 경우 건축법상 층수에 산입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택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서 부족한 주거가능 세대를 늘리는 방법 중 하나였으며, 빌라의 경우 4층이하 제한이 있기에 반지하를 두어 주거공간으로 건축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아파트가 많이 건축되고 주택공급이 어느정도 수준까지 올라왔고, 생활공간에 대한 중요도 등으로 신축의 경우 반지하는 두지 않는 추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과거 집이 부족해서 반지하 방을 만들어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문제가 많아 제도적으로 바꾸려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에 전쟁을 대비해 대피장소로 만들었던것들이 주거용으로 바뀐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현재는 반지하방을 만들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한정된 땅에 가구수를 최대한 많이 만들어서 월세수익을 얻기 위해 만드는겁니다.
주로 수요가 많은데 공급은 적은 서울지역에 반지하가 많이 있고
수요는 한정되있는데 공급이 많은 지방권의 경우 대부분 반지하가 없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