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3.12

조선시대 소방관 금화군과 멸화군에 대해 알려주세요~

조선시대에도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을 끄는 지금의 소방관과 같은 조직이 있었다던데요.

금화군, 멸화군이라 부르는 이 조직이 언제 설치되었고, 어떤 방법으로 불을 껐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화군, 멸화군이 어떤 조직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멸화군은 조선시대에 오늘날 대한민국 소방청의 역할을 한 수성금화사에 소속된 조직이며, 1431년 5월 13일 의정부, 육조, 한성부와 금화도감에서 진화 작업을 맡은 군인들과 이를 지원하는 급수비자를 함께 편성한 금화군이 그 시초라고 합니다.

    금화군은 1467년 12월 14일 사옹원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대규모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467년 12월 20일 멸화군으로 개편되었습니다.

    멸화군의 장비는 야간순찰 때 신분을 증명하기 위한 구화패가 있었으며, 화재 진압 때 사용한 장비로는 도끼, 쇠갈고리, 못 쓰는 휘장, 장막으로 만든 보자기, 동아줄, 적신 천을 매달아놓은 장대인 멸화자가 있었습니다. 급수비자는 물통을 장비하여 멸화군을 지원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화군은 멸화군과 같은 조직 입니다. 금화군은 1467년 12월 14일 사옹원 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대규모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467년 12월 20일 멸화군으로 개편 되었는데 1481년, 성종 12년에 동지사 이극기 가 금화도감을 재창설하자는 의견을 내었으며, 같은 해 수성금화사가 창설되었다고 합니다. 1637년, 인조 15년에 쓸데없는 관청이라 하여 혁파되었고 이에 따라 멸화군은 소멸됩니다. 보통 조직은 정원 5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도끼20개와 쇠갈고리 15개, 삼끈으로 만든 동아줄 5개를 지급받아서 화재 징압시 사용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큰바위얼큰이입니다.

    1431년 5월 12일 조선시대 최초로 불을 금하는 군대라는 뜻의 금화군이 창설되었습니다. 금화군은 높은 종루에 올라가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 시 출동해서 불을 끄는 활동과 방화범을 잡는 업무를 했습니다.

    이후 세조 때인 1467년 멸화군으로 확대되는데 50명의 군인들로 편성된 멸화군은 도끼와 쇠갈고리, 밧줄 등의 장비를 착용하고 현장에 출동했습니다.

    다만 화재가 나면 사람들이 일일이 물을 길러다가 불이 난 곳에 뿌리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불길이 쉽게 잡히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