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16

조선시대 암행어사는 조선초기부터 존재했던 감찰기구 인가요

조선 시대를 발은 사극에서 암행어사가 종종 등자하곤 하는데요 이 암행어사는 주로 조선 후기에 많이 보이는 것 같더라고요. 조선사회에서 암행어사가 처음으로 파견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는 승정원, 예문관, 3사(三司) 등의 당하관(堂下官) 가운데에서 3정승의 추천을 받아 왕이 임명했습니다. 물론 이미 지방에 파견 나가 있던 관리를 임명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암행어사가 최초로 파견된 시기는 조선 초 성종대였는데 17세기 이후에야 암행어사가 활성화되었습니다.


    암행어사의 주요 임무는 지방관의 비리 감찰과 민폐를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어사가 출두하여 지방관을 다스리는 방식은 우선 수령의 업무를 정지시키고 조사 내용을 왕에게 올리는 것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당시 수령이 어사보다 품계가 높은 경우가 다수였고 수령을 파직하는 등의 행위는 체제의 운영 원리상 맞지 않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암행어사가 파악한 내용은 서계(書啓)나 별단(別單)을 통해 서면으로 왕에게 보고하는 방법, 왕을 면대하고 진술하는 방법, 경연(經筵)에서 보고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서계는 암행어사가 돌아본 지역의 지방관과 관찰사에 대하여 업무 수행의 자세와 잘잘못 그리고 어사로서 급히 취한 조처들을 정리한 것이고, 별단은 해당 지역의 사회 문제와 백성들이 겪는 고통에 대하여 정리하고 어사로서 모색한 해결 방안을 서술한 정책 보고서의 성격을 갖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방관을 감찰하는 관리는 신라시대 때부터 있었습니다만,

    그들은 모두 암행, 즉 비밀리가 아닌 대대적으로 공개된 관리였습니다.

    '암행어사' 그 말 그대로 '비밀리에 임금의 명을 수행하는 관리'는

    조선시대에만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