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만리경
만리경23.12.06

낯선 장소에서 엄마가 나가는 대도 무신경하고 오히려 옆에 있는 낯선 사람과 친근하게 지내는 아이는 사회성이 좋은 것인가요?

낯선 장소에서 엄마가 나가는 것을 보고도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오히려 옆에 있는 낯선 사람과 친근하게 지내는 아이는 사회성이 좋은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성이 아주 좋은 걸로 보입니다. 낯선 사람과도 어색함이 없이 친근하게 지내는 것이 어려운 일입니다. 외향적인 성향으로 사교성이 뛰어난 아이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타고난 성향이 있습니다. 사람들과 친화력이

    좋은 아이들의 경우 부모보다 타인에게 더 친화력이 높은 아이들도 있다고

    합니다. 아이의 타고난 성향을 존중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기질은 가정과 바깥에서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즉, 가정에서 조용하고 얌전한 아이가 바깥에 나가면 활발하게 잘 지내는 경우가 있어요.

    지금 우리 아이도 엄마에게 무신경 해도 엄마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바깥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것은 제 생각에는 엄마보다 다른 사람이 더 편하게 느껴져서 그럴지도 몰라요.

    엄격함으로 아이를 대했다면 부드럽게 아이를 대해 보시면 좋을 것 같구요.

    아이와 대화를 나누셔서 아이의 진심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선사람에게다가가는것은사회성이좋다고볼수있으나

    위험성도있기에 적절한교육이필요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에대한신뢰감이높은아이의경우엄마가 떨어지거나해도다시올것을 알기에 위처럼행동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낯선 사람과 잘 지내는 것이 사회성이 좋긴 하겠지만,

    아이의 안전을 생각해서 어느 정도의 낯가림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사회성이 좋다라는 것은 단순히 사람들과 금방 친해지고, 친근하게 지낸다고 해서 사회성이 좋은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을 공감해 줄 수 있는 능력을 사회성이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