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3.07

아이들의 사회성이 좋다는 건 어떤 기준일까요?

주변에 어른들에게는 굉장히 친숙하게 얘기를 잘하는 아이가 있는데 또래 친구들과 있을 때는 주변을 혼자 겉돌면서 끼질 못하더라구요. 아이의 엄마는 어른들과 얘기를 잘 한다는 이유로 붙임성도 좋고 사회성이 나쁘진 않다고 별 신경을 쓰지 않거라구요. 이런 경우 아이가 사회성이 괜찮다고 할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있을때 크게 무리에서 어긋남없이 지내고 어울리는정도라면

    사회성이 좋다고 볼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인간발달의 전반적인 영역들 중에서

    개인이 사회에 적응성을 발달시켜 가는 측면을 말합니다.


    즉, 아기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 발달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공인된 언어, 사고, 감정, 행동 등을 포함하는 생활양식을 학습하여 타인과의 상호 접촉을 통한 건전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간은 성장하면서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 성원들이 기대하는 바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발달시켜 나갑니다.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행동특성으로는 친사회적 행동, 도덕성 발달, 사회인지, 사회적 조망수용 능력, 인성, 동기, 가치관, 태도, 신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출처:교육심리학용어사전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사회성이란 쉽게 말해 성격 좋고 사회적 기술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가 속한 특정 그룹에 쉽게 녹아들고 때와 장소에 걸맞는 행동을 능숙하게 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자라난 환경이나 개인적 특성, 관심사에 따라 행동을 달리 할 수 있는데

    해당 아동의 경우 또래친구들의 놀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어른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을 줄 아는 아이로 보입니다. 친구들놀이에서 흥미를느끼게 되었을 때 잘 섞일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성 이라는 것이 쉽게 정의될 수 있는 단조로운 것은 아닙니다.

    사회성은 생애초기 애착마저 시작해서 수많은 정서행동의 발달과 더불어 도덕성.이타심을 동반하는 굉장히 포괄적인 것들의 총합 이기 때문 입니다.

    * 사회성 기준을 적어드리자면

    1. 애착

    2.정서적 유대감

    3. 이해와 공감

    4. 자신감과 자존감 등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성은 계속 연습하고 보고 배우는 기술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노출정도와 익숙한정도에 따라 아이들이 다를것입니다. 물론 시작점이 다를 수는 있죠.

    발달에 장애가있거나 늦은경우가 아니라면 아동기와 사춘기를 거치면서 또래사이에서의 사회성을 배워가며 성장을 할 것이기에 현재 어른과 또래를 대하는것에 차이가 난다해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