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계속 훈육을 해야하는건지 걱정입니다

아기가 돌이 지나면서 저지레도 많이 하고 하면 안되는 행동들도 하고 나름 일관성있게 훈육을 하려고 애쓰는 편인데 장난감을 던지거나 쇼파위에서 위험한 행동을 하거나 할때 얼마전까진 안돼!!라고 단호하게 했습니다
방안에 데리고 들어가 단호하게 왜 그러면 안돼는지 짧게 말하는데 발버둥치고 딴짓하고 눈을 피하고 그러길래 양팔을 잡고 눈을 쳐다보며 훈육을 했어요 그럴때마다 울고불고 훈육이 끝나면 안아주고 엄마는 너를 사랑한다고 말해주고 거실로 데리고 나오곤 했는데 그것도 잠시 몇분안돼 똑같은 행동을 눈치살살 보며 하길래 블럭 길쭉한게 눈에 들어와 위험한 행동을 할때 아기 손바닥을 한두대 때렸어요 지금 저희 아가가 살짝 그런기미가 보이는것 같아 말로 하면 안되고 엄마맴매를 보여줘야 안하거든요,,계속 이런 훈육을 해야하눈건지 어떻게 해줘야 하는지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네 위험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이야기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만3세 이전에는 아이가 양육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훈육을 효과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만3세 이전에 훈육을 할 때는 아이의 마음을 적절하게 말로 표현해주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대부분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서는 다양한 문제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먼저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훈육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들의 연령과 발달 단계에 따라서도 훈육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들의 잘못한 행동에 대해 비난하거나 혼내는 대신, 올바른 행동을 알려주고 이를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아이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들의 행동을 강제로 억압하거나 체벌을 가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아이들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고민하시고, 가족 구성원들 간에도 서로 의견을 나누고 협력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어려움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어떤 경우에라도 아이에게 체벌을 하는 것은 좋지 못한 경우 입니다

    아이들은 돌이 지나면서 세상에 대한 관심도 많아 지고 호기심도 발달 하여 잠깐만 한 눈을 팔아요 안전사고로

    이어 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가 위험한 상황이 되지 않도록 위험한 물건이 있으면 치우는 것이 좋고 너무 많이 물건을 꺼내 놓게 되면

    어느 정도 정리를 해서 안 보는 곳에 치우고 나중에 지금 있는 물건과 교환를 하면서 주위 환경을 조성 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되게 경계선을 그어주는 것과 더불어 위험한 상황에서는 즉시 행동을 멈추게 하되 왜 그 해동이 위험한지 짧고 간단한 설명과 함께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돌이 지나면서 위험한 해동을 할 때 훈육은 여전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은 아이에게 규칙을 이해시키고 안전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이시기가 되면 아이들은 부모의 반응을 보면서 자신의 행동 경계를 찾으려고 합니다.

    훈육을 할 때는 체벌 대신에, 일관성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규칙을 설명해 주세요

    그리고 잘못된 행동에 대한 훈육보다는

    잘한 행동에 대한 칭찬을 통해서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에게 물리적 훈육보다는 일관된 설명과 긍정적 대체 행동을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위험 상황을 예방하고 안전한 행동을 할 때 칭찬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한 걱정이 충분히 이핵가 됩니다. 일관성 있는 훈육은 중요하지만, 손바달을 때리는 방식보다는 긍정적인 대안과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행동을 멈출 때 칭찬하고 위험한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차분하게 설명하는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아직은 부모의 말이나 규칙을 이해하고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특히 1-2세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과 결과를 연결시키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서, 위험한 행동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위험한 상황에서는 일관성 있는 훈육이 중요하지만, 손바닥을 때리거나 체벌을 사용하는 방식보다는 다른 접근을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체벌은 단기적으로 보면 행동을 멈추게 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아이의 정서나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엄마의 반응을 두려워할 수 있고,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대신 아이의 행동을 예방하고 대체 행동을 가르치는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던질 때 "장난감은 던지는 게 아니고 이렇게 놓는 거야"라고 시범을 보이면서 설명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할 때는 안전한 대체 활동으로 관심을 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위험한 상황에서는 즉시 제지하고 안전한 곳으로 데려가되, 너무 길게 설명하기보다는 간단하고 명확하게 "이건 위험해" 정도로 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훈육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이해되지만, 훈육이란 행동을 교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안전하고 사랑이 가득한 환경에서 규칙을 이해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