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형미세골절 전거비인대파열 입니다
심하게발목꺽인지3주차입니다 발을딛지못할정도였고 다음날엑스레이만찍었는데 다행히골절은아니라고하고 많이부은거보기 인대파열인거같다고 2주후에 붓기가라앉으면 딴병원가서 초음파나 mri찍어보래서 2주동안 반깁스만 하는둥마는둥하고 잘때는빼고 그랬어요ㅠ거의방치수준으로 2주보냈네요
2주후에 다른정형외과가서 초음파랑엑스레이찍었어요 엑스레이상 골절은아니며 초음파상 전거비인대완전파열인거같다고 반깁스+목발처방해줬는데 목발은안하고 반깁스만하고 절뚝이며 걸어다녔습니다 잘때는 보호대하고잤어요 그렇게1주가 지나고 다치고난지 딱3주차인데 3주만에 처음mri찍으니 확산형미세골절?이라는데요 엑스레이는찍히지않지만 뼈안이 미세골절됐다고 보여주는데 좀 거미줄처럼하얗게 엉킨거처럼보이더군요 완전파열이라던 인대는 완파는아니고 70퍼정도 파열된거같다고 통깁스3주하고 땅을아예딛지말자고 하십니다
1. 확산형골절은뭔지요?그럼 저는 뼈붙었는지안붙었는지 계속 mri로 체크해야되나요?
2. 저같은경우 반깁스하면안되나요? 꼭통깁스를해얄만큼 심각한건지요?
3.인대는 완파가아닌 부분파열인가요
4.발딛고하면 뼈가 더 골절될수있는지 낫고나서 관절염이생길까요
판독지첨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확산형미세골절은 일반적인 골절과는 달리 뚜렷한 골절이 아니라 미세한 손상이 넓게 펴져있는 상태로, MRI나 CT를 통해 회복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초기에는 추가적인 영상검사가 아닌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상변화를 지켜보게 됩니다.
뼈와 인대가 동시 손상되어 회복이 더뎌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강한 통깁스를 고려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완전히 파열되었기 보다는 정밀검사 이후 소견에 따라 어느정도 인대조직이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재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력이 높은 통깁스와 체중부하를 막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체중부하가 되는 경우 관절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만성통증으로 진행되거나 추가적인 손상으로 인해 미세골절이 더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생각됩니다. 장기적으로는 관절염의 발생가능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확산형 미세골절은 뼈 내부에 미세한 균혈이 여러 군대 생긴 상태로 엑스레이에 잘 안보이지만 mri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뼈 치유 경과는 mri나 임상 증상으로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검진받는 것이 좋습니다. 부분 인대 파열로 보이고 완전 파열은 아닌 상태로 반깁스 대신 통깁스를 권하는 이유는 안정성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1. 확산형골절은뭔지요?그럼 저는 뼈붙었는지안붙었는지 계속 mri로 체크해야되나요?
-> 확산형골절은 스트레스성 골절로 반복되는 자극으로 인한 뼈의 미세골절이 나타나는것입니다.
지금과 같은 경우엔 mri 촬영도 있지만 비용적인 부담도 있기에 어느정도 텀을 두고 촬영할 수 있으며
2. 저같은경우 반깁스하면안되나요? 꼭통깁스를해얄만큼 심각한건지요?
-> 우선 지금은 충분한 관리가 안되었기에 전문의에 판단하에 통깁스를 처방 내린것 같습니다.
반깁스는 가벼운 상태에서 착용하지만, 지금과 같은 경우는 통깁스를 통해 좀 더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차적인 손상을 막기위해 통깁스가 필요해보입니다.
3.인대는 완파가아닌 부분파열인가요
-> 정밀 검사인 mri에서 70% 파열로 확인되었기에 부분 파열로 판정은 되지만 70%는 심각한 손상으로 관리가 부족하면 완전 파열로 될 수 있습니다.
4.발딛고하면 뼈가 더 골절될수있는지 낫고나서 관절염이생길까요
-> 지금은 사실 반깁스를 하고 충분한 관리가 부족하였기에 확산형 골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상황에선 계속 반복되는 자극(발 딛기)을 주면 골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며 이제는 통깁스를 3주간 하고 땅에 딛지말라고 하신만큼 관리를 잘 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외상성 관절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도 중요하지만 질문자님께서 관리도 중요합니다.
관리가 잘 되지않는다면 이차적인 손상을 유발하며 회복도 지연되기에 치료, 관리 모두 다 꾸준히 해주시길 바랍니다^^